건강

건강

환자 95%가 20대 여성…'신경성 폭식증'은 왜 그녀들을 공격하는가

 우리나라 20대 청년층이 거식증과 폭식증으로 대표되는 섭식장애의 늪에 빠져들고 있다. 사회적으로 가장 활발해야 할 시기에 남몰래 음식과 사투를 벌이며 병원을 찾는 청년들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실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섭식장애로 진료를 받은 20대 환자 수는 2020년 2203명에서 꾸준히 증가해 2024년에는 6월까지만 집계했음에도 2538명을 기록했다.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약 4년 반 동안 병원을 찾은 20대 섭식장애 환자의 총합은 1만 3949명에 달해, 이 문제가 더 이상 일부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 청년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현상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섭식장애는 단순히 음식을 많이 먹거나 적게 먹는 습관의 문제가 아니다. 신경성 식욕부진(거식증)부터 신경성 폭식증, 비정형적인 증상들, 그리고 다른 심리적 문제와 연관된 과식이나 구토까지 총 9가지의 복잡한 상병코드로 진단되는 정신건강의학적 질환이다. 특히 이번 통계에서 20대 환자들이 가장 많이 진단받은 질환은 '신경성 폭식증'이었다. 이는 짧은 시간 안에 스스로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양의 음식을 먹어치운 뒤, 체중 증가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과 죄책감 때문에 억지로 구토를 하거나 설사약, 이뇨제 등을 남용하는 행위를 반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과정에서 환자는 신체적 손상은 물론, 극심한 정신적 고통을 겪게 된다.

 


이번 조사에서 드러난 또 하나의 주목할 만한 점은 신경성 폭식증이 특정 성별에 압도적으로 집중되어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2020년부터 집계된 20대 신경성 폭식증 환자 중 여성은 7528명으로, 전체의 약 95%라는 경이적인 비율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남성 환자는 414명에 불과해, 20대 여성들이 섭식장애 문제에 얼마나 취약하게 노출되어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이에 대해 전문가는 생물학적 원인과 더불어, 마른 몸매를 강요하고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 그리고 왜곡된 신체 이미지를 갖게 하는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한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이러한 사회 환경적 영향이 여성에게 더욱 가혹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섭식장애는 결코 가볍게 여길 수 없는, 때로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이주영 의원은 섭식장애가 건강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문제임을 강조하며, 심할 경우 특수 영양 공급이나 입원 치료가 필요하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따라서 본인이나 주변에 섭식장애가 의심되는 증상이 보인다면 이를 개인의 의지 문제로 치부하지 말고, 최대한 빨리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고 통합적인 의료 상담을 시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치료만이 깊은 고통의 굴레에서 벗어나 건강한 삶을 되찾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남들 다 가는 '뻔한 여행' 질렸다면…요즘 뜨는 '숨은 보석' 여행지 3곳

진 소도시로 빠르게 옮겨가고 있다. 글로벌 여행 플랫폼 클룩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의 예약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익숙한 여행지 안에서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는 트렌드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더 이상 유명 관광지를 순례하는 '점 찍기'식 여행에서 벗어나, 현지의 고유한 매력과 문화를 깊이 있게 체험하려는 여행객들의 욕구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북적이는 대도시의 소음에서 벗어나 한적한 소도시에서 온전한 휴식과 새로운 영감을 얻으려는 움직임이 새로운 여행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일본과 베트남의 작지만 매력적인 도시들이 있다. 특히 일본 시즈오카현의 후지노미야는 전년 대비 예약 건수가 무려 38배나 폭증하며 새로운 스타 여행지로 떠올랐다. '일본의 하와이'라 불리는 오키나와의 나하와 베트남 북부의 산악 도시 사파 역시 각각 60% 이상 예약이 늘어나는 기염을 토했다. 이는 단순히 일부 마니아층의 관심이 아닌, 대중적인 여행 트렌드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강력한 신호다. 과거에는 도쿄나 오사카, 하노이 같은 대도시를 거점으로 잠시 들르는 곳으로 여겨졌던 이들 소도시가 이제는 그 자체로 여행의 최종 목적지가 되고 있음을 명백히 보여준다.소도시 열풍의 배경에는 대도시가 줄 수 없는 차별화된 경험이 자리한다. 후지노미야는 웅장한 후지산을 병풍처럼 두르고 지역 특유의 미식과 쇼핑, 온천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며 여행객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오키나와 나하는 아름다운 해변에서의 휴양과 해양 액티비티는 물론, 섬 전체를 자유롭게 누비는 드라이브 여행이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실제로 올해 오키나와의 렌터카 예약은 전년 대비 250%나 급증하며 이러한 트렌드를 증명했다. 베트남 사파 역시 인도차이나 최고봉인 판시판산의 장엄한 풍경과 소수민족의 독특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하노이에서의 접근성이 개선되며 숨은 보석에서 모두의 버킷리스트로 거듭나는 중이다.결국 이는 여행의 패러다임 자체가 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여행객들은 이제 정해진 코스를 따라가는 수동적인 관광객이 되기보다, 자신만의 취향과 속도에 맞춰 여행을 디자인하는 능동적인 탐험가를 자처한다. 오키나와 해변 도로를 고카트로 질주하고, 사파의 케이블카를 타고 구름 위를 산책하며, 후지산의 절경을 바라보며 온천을 즐기는 이색적인 활동들이 인기를 끄는 이유다. 이준호 클룩 한국 지사장의 말처럼, 이제 여행은 단순한 휴식을 넘어 '발견의 즐거움'을 통해 새로운 영감을 얻는 과정으로 진화하고 있다. 전 세계 곳곳에 숨겨진 소도시들의 반란은 이제 막 시작되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