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타임

스포츠타임

덴마크 우승컵 들고 '번개'처럼 프랑스로! 안세영, 9관왕 카운트다운

  

 

'배드민턴 여제' 안세영(23, 삼성생명)의 질주는 멈출 줄 모른다. 8번째 국제대회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린 지 불과 사흘 만에, 그녀는 9관왕을 향한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덴마크오픈 우승의 피로도 잊은 채, 프랑스오픈 코트에 선 안세영은 예상대로 또 승리하며 순조로운 출발을 알렸다.

 

세계랭킹 1위 안세영은 지난 22일 프랑스 세숑세비녜에서 열린 2025 BWF 월드투어 슈퍼750 프랑스오픈 여자 단식 32강전에서 인도의 안몰 카르(43위)를 2-0(21-15, 21-9)으로 완파하며 16강에 안착했다. 경기는 단 36분 만에 끝났다. 덴마크오픈 결승전이 끝나고 사흘의 짧은 휴식만 취한 시점이었음에도, 그녀의 강철 체력과 흔들림 없는 집중력은 빛을 발했다.

 

경기 초반, 1세트에서 6-12까지 끌려가며 잠시 위기를 맞기도 했다. 덴마크오픈 결승의 여파인지 다소 무거운 움직임과 실책이 보였던 것. 하지만 안세영은 폭발적인 순발력과 스매시로 흐름을 단숨에 뒤집었다. 13-13 동점을 만들더니 21-15로 역전하며 세트를 가져왔다. 기세를 탄 2세트는 압도적이었다. 빠른 풋워크로 코트를 장악, 초반부터 3-0, 11-6 리드를 잡은 뒤 상대의 반격 의지를 꺾으며 21-9의 완벽한 스코어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이번 승리는 단순한 16강 진출을 넘어, 안세영의 경이로운 회복력과 정신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순간이었다. 불과 며칠 전 덴마크 오덴세에서 왕즈이(2위, 중국)를 꺾고 정상에 오른 피로를 이겨내고 완벽한 퍼포먼스를 선보인 것이다. 세계 배드민턴 무대는 다시 한번 '안세영 시대'임을 확인했다.

 

안세영은 올해 출전한 12개 대회 중 8개에서 우승 트로피를 거머쥐며 '배드민턴 여제'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 시즌 초부터 말레이시아오픈, 인도오픈, 전영오픈, 인도네시아오픈 등 슈퍼1000급 대회를 휩쓸었으며, 수디르만컵 개인전에서는 출전한 모든 경기에서 단 한 세트도 내주지 않는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다.

 


안세영 선수에게도 시련은 찾아왔다. 지난 7월 중국 오픈에서는 부상으로 준결승을 포기해야 했고, 8월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천위페이(중국, 5위) 선수에게 패하며 2연패의 꿈이 좌절되기도 했다. 하지만 그녀는 이에 굴하지 않았다. 복귀전이었던 중국 마스터스에서 완벽한 기량으로 연승을 거두며 건재함을 입증했다. 이어진 덴마크 오픈에서는 코리아 오픈에서 패배를 안겼던 야마구치 아카네(일본, 3위) 선수에게 준결승에서 설욕했고, 결승에서는 왕즈이 선수를 제압하며 시즌 8번째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이제 안세영의 시선은 프랑스오픈 2연패에 맞춰져 있다. 지난해 이 대회 정상에 섰던 그녀는 이번에도 강력한 우승 후보다. 덴마크에서 보여준 경기력과 강철 체력이라면 다시 한번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려도 전혀 이상하지 않다. 다음 상대는 랭킹 20위 미아 블리크펠트(덴마크)로, 안세영이 5전 전승으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

 

강철 같은 체력과 흔들림 없는 집중력으로 무장한 안세영. 그녀의 시즌 9번째 우승 도전은 22일부터 26일까지 TV 채널 스포티비 프라임2(SPOTV PRIME2)에서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다. 과연 '배드민턴 여제'는 또 하나의 역사를 써 내려갈 수 있을까.

 

단순 테마파크 넘어 '글로벌 기업' 되겠다는 롯데월드, 그 야심의 근거는?

2021년, 국내 테마파크 업계 최초로 ESG 경영을 선포한 롯데월드는 '더 나은 세상(A Better World)'이라는 명확한 슬로건 아래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체계적인 로드맵을 구축해왔다. 이번 보고서는 단순한 선언을 넘어, 지난 4년간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각 영역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온 롯데월드의 구체적인 발자취와 그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환경(E) 부문에서는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돋보인다. 롯데월드는 환경경영, 기후변화 대응, 생태계 보전이라는 세 가지 핵심 축을 중심으로, 전국 5개 사업장 전체로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인증을 확대하며 경영 활동 전반에 친환경 가치를 깊숙이 뿌리내렸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고효율 설비를 적극 도입하여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는 등 기후 위기 대응에도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여 탄소 배출 저감에 동참하는 '그린월드 캠페인'처럼 고객들이 일상 속에서 함께할 수 있는 참여형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지속가능성의 가치를 사회 전반으로 확산시키고 있다.사회(S) 부문에서는 기업의 책임 범위를 내부 구성원에서 협력사, 그리고 지역 사회까지 확장하며 상생의 가치를 실현했다. 2023년 업계 최초로 구성원 대상 인권영향평가를 실시하여 혁신적인 조직 문화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2024년에는 유기적인 소통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임직원 간의 유대감과 협업 환경을 강화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협력사를 대상으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컨설팅을 무상으로 지원하며, 산업 안전에 대한 책임을 공급망 전체로 확대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드림업(Dream Up)' 캠페인을 필두로 '드림티켓', '찾아가는 테마파크' 등 문화 소외계층을 위한 꾸준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며 따뜻한 사회를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다.투명하고 건전한 지배구조(G) 확립을 위한 노력 역시 보고서의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한다. 롯데월드는 대내외 법규 기준보다 한층 강화된 자체 리스크 관리 체계를 운영하며 발생 가능한 모든 위험 요소를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 특히, 국내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ISMS-P) 인증과 국제 표준 정보보호 관리체계(ISO 27001) 인증을 모두 취득하며, 고객 정보를 보호하는 데 있어 글로벌 수준의 보안 역량을 갖추었음을 입증했다. 롯데월드는 앞으로 IP 비즈니스 고도화와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도약하는 동시에, ESG 경영을 더욱 심화하여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