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12분만 뛰면 당신의 '건강 나이'가 보인다?…화제의 '최대 산소 섭취량' 측정법

 최근 애플 워치나 갤럭시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자신의 생체 신호를 확인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심박수, 수면의 질 등 다양한 지표 중에서도 특히 '최대 산소 섭취량(VO2 max)'은 우리의 건강 상태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핵심 지표로 주목받고 있다. 최대 산소 섭취량이란 신체가 격렬한 운동 중에 사용할 수 있는 산소의 최대량을 의미하며, 이는 곧 우리 몸이 산소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지를 나타낸다. 즉, 유산소 운동 능력과 심혈관 건강 상태를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인 셈이다. 전문가들은 이 수치가 높을수록 신체 회복력이 뛰어나고 건강한 상태임을 의미한다고 입을 모은다. 반대로 수치가 낮다면 심장 질환, 당뇨병, 심지어 치매와 같은 만성 질환의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경고도 덧붙인다. 이처럼 최대 산소 섭취량은 운동이 우리의 건강 수명과 얼마나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는 최대 산소 섭취량을 측정하기 위해 산소마스크를 착용한 채 러닝머신 위를 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일상에서 사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만으로도 충분히 자신의 최대 산소 섭취량을 추정할 수 있다. 이 기기들은 심박수와 같은 다양한 신체 활동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값을 산출해낸다. 만약 웨어러블 기기가 없다 하더라도 간단한 방법으로 측정해 볼 수 있다. 충분한 준비 운동으로 몸을 푼 뒤, 12분 동안 자신의 한계에 부딪힐 때까지 전력으로 달려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측정된 거리(km)에 22.351을 곱하고 11.288을 빼면 자신의 최대 산소 섭취량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 남성의 경우 50 이상이면 매우 우수한 수준이며, 여성의 경우 40 이상이면 마찬가지로 매우 우수하다고 평가된다. 참고로 역대 최고 기록은 노르웨이의 한 사이클 선수가 기록한 96.7이다.

 


측정 결과, 자신의 최대 산소 섭취량 수치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해서 좌절할 필요는 없다. 꾸준한 훈련을 통해 얼마든지 이 수치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심장을 빠르게 뛰게 하는 중강도의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다. 가볍게 숨이 찰 정도의 강도로 달리기나 자전거 타기를 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이러한 중강도 운동이 몸에 익숙해졌다면, 한 단계 더 나아가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HIIT)에 도전해볼 수 있다.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은 40~50초간 폭발적인 에너지로 운동하고 10~20초간 짧은 휴식을 취하는 사이클을 반복하는 방식이다. 이 운동은 신체가 급격한 강도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도록 만들어 근력과 지구력을 포함한 전반적인 신체 능력을 매우 효율적으로 단련시킨다.

 

결론적으로, 최대 산소 섭취량은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우리의 현재 건강 상태를 진단하고 미래의 질병 위험을 예측하는 중요한 바로미터 역할을 한다. 웨어러블 기기의 보급으로 이제 누구나 손쉽게 자신의 최대 산소 섭취량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낮은 수치에 실망하기보다는 이를 개선의 기회로 삼아 꾸준한 유산소 운동과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을 병행한다면, 우리는 더욱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최대 산소 섭취량을 높이는 것은 단순히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넘어, 만성 질환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고 건강 수명을 연장하는 가장 확실한 투자라고 할 수 있다. 지금 바로 자신의 최대 산소 섭취량을 확인하고, 더 건강한 내일을 위한 첫걸음을 내디뎌 보는 것은 어떨까.

 

단순 테마파크 넘어 '글로벌 기업' 되겠다는 롯데월드, 그 야심의 근거는?

2021년, 국내 테마파크 업계 최초로 ESG 경영을 선포한 롯데월드는 '더 나은 세상(A Better World)'이라는 명확한 슬로건 아래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체계적인 로드맵을 구축해왔다. 이번 보고서는 단순한 선언을 넘어, 지난 4년간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각 영역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온 롯데월드의 구체적인 발자취와 그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환경(E) 부문에서는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돋보인다. 롯데월드는 환경경영, 기후변화 대응, 생태계 보전이라는 세 가지 핵심 축을 중심으로, 전국 5개 사업장 전체로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인증을 확대하며 경영 활동 전반에 친환경 가치를 깊숙이 뿌리내렸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고효율 설비를 적극 도입하여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는 등 기후 위기 대응에도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여 탄소 배출 저감에 동참하는 '그린월드 캠페인'처럼 고객들이 일상 속에서 함께할 수 있는 참여형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지속가능성의 가치를 사회 전반으로 확산시키고 있다.사회(S) 부문에서는 기업의 책임 범위를 내부 구성원에서 협력사, 그리고 지역 사회까지 확장하며 상생의 가치를 실현했다. 2023년 업계 최초로 구성원 대상 인권영향평가를 실시하여 혁신적인 조직 문화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2024년에는 유기적인 소통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임직원 간의 유대감과 협업 환경을 강화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협력사를 대상으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컨설팅을 무상으로 지원하며, 산업 안전에 대한 책임을 공급망 전체로 확대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드림업(Dream Up)' 캠페인을 필두로 '드림티켓', '찾아가는 테마파크' 등 문화 소외계층을 위한 꾸준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며 따뜻한 사회를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다.투명하고 건전한 지배구조(G) 확립을 위한 노력 역시 보고서의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한다. 롯데월드는 대내외 법규 기준보다 한층 강화된 자체 리스크 관리 체계를 운영하며 발생 가능한 모든 위험 요소를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 특히, 국내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ISMS-P) 인증과 국제 표준 정보보호 관리체계(ISO 27001) 인증을 모두 취득하며, 고객 정보를 보호하는 데 있어 글로벌 수준의 보안 역량을 갖추었음을 입증했다. 롯데월드는 앞으로 IP 비즈니스 고도화와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도약하는 동시에, ESG 경영을 더욱 심화하여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