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최신

경제최신

"미국이 인정한 K-기업인!" 장인화 포스코 회장, 밴플리트상 수상으로 '글로벌 공급망 핵심' 입증!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지난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개최된 '코리아소사이어티 연례 만찬'에서 한미 경제 협력 및 우호 증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영예로운 '2025 밴플리트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한미 관계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인물이나 단체에게 수여되는 최고 권위의 상으로, 장 회장의 이번 수상은 포스코그룹이 단순한 철강 기업을 넘어 글로벌 경제 협력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했음을 대내외에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특히 최근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경제 안보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에서, 포스코그룹이 미국 산업 생태계 재건과 지속 가능한 공급망 구축에 기여한 점이 높이 평가받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이번 수상은 한미 양국 간의 오랜 우호 관계를 경제적 파트너십으로 확장하고 심화하는 데 포스코그룹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밴플리트상은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의 현대화를 이끌며 '한국군의 아버지'로 불렸던 제임스 밴 플리트 장군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기 위해 1992년 제정되었다. 이 상은 한미 양국 간의 상호 이해와 협력, 그리고 우호 증진에 탁월한 공헌을 한 개인 또는 단체에게 수여되며, 그동안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 김대중 전 한국 대통령을 비롯해 최태원 SK 회장, 그리고 세계적인 그룹 방탄소년단(BTS) 등 각 분야의 저명한 인사들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올해는 장인화 회장과 함께 미국 의회 한국연구모임(CSGK)이 공동 수상자로 선정되어, 민간과 의회 차원의 한미 관계 증진 노력이 함께 조명받았다. 캐슬린 스티븐스 코리아소사이어티 이사장은 장 회장이 특히 미국 산업 생태계 재건과 지속 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지원하며 양국 간 유대 강화에 크게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혀, 포스코그룹의 실질적인 기여를 강조했다. 1957년 설립된 코리아소사이어티는 한미 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이해 증진과 협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비영리 친선 단체로서, 이번 시상을 통해 그 역할과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장인화 회장은 수상 소감을 통해 "한미 동맹의 가치를 높여 온 코리아소사이어티로부터 밴플리트상을 받게 되어 더없는 영광이자 특별한 의미"라고 감격스러운 마음을 전했다. 그는 포스코그룹의 역사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역설하며, "포스코그룹에 미국은 성장과 도약의 출발을 함께한 가장 굳건한 파트너였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사례로, 포항제철소 설립 당시 미국의 선진 철강 산업이 포스코에 큰 '영감'을 주었으며, 1972년 이루어진 포스코 최초의 대미 수출이 세계 시장으로 향하는 '관문' 역할을 했다고 회고했다. 또한, 1994년 국내 기업 최초로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한 사건은 포스코그룹 성장 역사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고 언급하며, 미국과의 오랜 협력 관계가 포스코의 글로벌 성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음을 분명히 했다. 이러한 발언은 단순한 수상 소감을 넘어, 포스코그룹이 걸어온 길과 미래 비전 속에 한미 협력이 얼마나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었다.

 

장 회장은 과거의 영광에 머무르지 않고 미래를 향한 강력한 비전도 제시했다. 그는 "자동차, 조선,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의 핵심 소재 공급을 넘어, 인공지능(AI) 기반 지능형 공장 실현 등 미국 제조업의 새로운 르네상스를 함께 열어 가겠다"고 약속하며, 포스코그룹이 앞으로도 한미 양국의 산업 발전에 기여할 의지를 피력했다. 이는 포스코가 단순한 소재 공급자를 넘어, 첨단 기술과 혁신을 통해 미국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고도화를 선도하는 파트너가 되겠다는 포부를 담고 있다. 이번 밴플리트상 수상은 장인화 회장 개인의 영광을 넘어, 포스코그룹이 지난 반세기 동안 한미 경제 협력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해 왔음을 재확인하고, 미래 100년을 향한 새로운 협력의 지평을 열겠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한미 동맹이 군사 안보를 넘어 경제, 기술, 산업 전반으로 확장되는 시대에, 포스코그룹의 이러한 노력은 양국 관계를 더욱 굳건히 하는 중요한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킹더랜드’ 촬영지부터 ‘인생샷’ 오렌지농장까지…요즘 방콕·치앙마이 여행법

적으로 개최되었고, 타이비엣젯 항공의 신규 취항으로 하늘길까지 넓어지면서 두 나라 사이의 거리는 더욱 가까워졌다. 이러한 분위기는 여행지에서도 고스란히 느껴진다. 방콕 짜오프라야강의 디너 크루즈에서는 싸이의 '강남스타일'부터 로제의 '아파트'에 이르기까지, 시대를 아우르는 K팝이 울려 퍼지면 국적을 불문한 여행객들이 함께 춤을 추며 어우러진다. 넷플릭스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K팝 아이돌의 복장을 한 여행객이 나타나 환호를 받는 모습은 이제 낯설지 않은 풍경으로, 양국의 우정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음을 실감케 한다.업그레이드된 방콕의 중심에는 단연 수쿰빗 거리가 있다. 과거의 낡은 이미지를 벗고 스마트한 도시의 면모를 갖춘 이곳은 코리아타운을 중심으로 새로운 활력이 넘친다. 수쿰빗 플라자 입구의 대형 스크린에서는 K팝 영상이 쉴 새 없이 흘러나오고, '일미정', '광한루', '조방낙지' 등 정겨운 한글 간판을 내건 식당들은 현지인과 관광객들의 발길을 사로잡는다. 인근의 한국문화원은 태국 내 K컬처 확산의 전초기지 역할을 톡톡히 해내며 태국을 한류 종합 호감도 3위 국가로 이끄는 데 기여했다. 주변으로는 쉐라톤, 웨스틴 등 최고급 호텔들이 마천루를 이루고 있으며, 벤차시리 공원, 엠포리엄 백화점 등 주요 관광지와도 인접해 여행의 편의성을 더한다.방콕의 매력은 수쿰빗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JTBC 드라마 '킹더랜드'의 촬영지로 알려진 새벽사원, 아이콘시암, 버티고 문바 등은 새로운 필수 코스로 떠올랐다. 특히 복합 쇼핑몰 아이콘시암은 디너 크루즈의 출발점이자 그 자체로 거대한 볼거리이며, 최근 문을 연 '두짓 센트럴파크'는 550개 이상의 매장과 70여 개의 미슐랭 가이드 인증 맛집을 품은 쇼핑의 천국이다. 이곳의 독특한 'X'자 에스컬레이터 포토존과 숲처럼 꾸며진 옥상 정원은 인생샷을 남기려는 이들로 붐빈다. 방콕 왕궁의 에메랄드 사원과 거대한 와불이 주는 감동은 여전하며, 도시 곳곳에서 현대적인 세련미와 유구한 역사가 흥미롭게 공존한다.방콕의 활기찬 분위기와는 또 다른 매력을 지닌 치앙마이는 '맛있는 녹색 여행지'라는 새로운 수식어를 얻었다. 님만해민 거리의 복합 문화공간 '원 님만'에서는 현대적 감각과 태국 북부 란나 문화가 어우러진 쇼핑과 미식, 예술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다. 산속 깊숙이 자리한 '마이 가든 오렌지농장'에서는 직접 오렌지와 딸기를 따고, 아름다운 전망을 배경으로 '티크닉(차+피크닉)'을 즐기며 자연 속에서 온전한 휴식을 경험할 수 있다. 여행의 피로를 풀고 싶다면 란나 왕국의 귀족들이 받던 전통 마사지를 체험할 수 있는 '지라 스파'가 제격이다. 지역 특산 허브를 이용한 찜질과 아로마테라피는 몸과 마음에 특별한 치유를 선사하며, 다시 찾은 태국 여행에 따뜻하고 깊은 인상을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