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생활문화

사람 너무 많아 주차도 못 할 지경…'역대급 흥행' 국립중앙박물관의 아이러니

 국립중앙박물관이 개관 80년 역사상 처음으로 연간 관람객 500만 명을 돌파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이는 지난해 세운 연간 최다 기록인 418만여 명을 불과 10월 중순에 가뿐히 넘어선 수치다. 이러한 폭발적인 흥행의 중심에는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열풍이 자리 잡고 있다. 이 작품을 계기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박물관을 찾는 발길이 그 어느 때보다 뜨거워진 것으로 분석된다. 단순한 유물 관람을 넘어, 우리 문화의 새로운 매력을 발견하려는 능동적인 움직임이 박물관의 문턱을 닳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관람객 증가세는 수치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올해 10월 15일까지 박물관을 찾은 501만여 명 중 내국인 관람객은 483만여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70%나 폭증하며 전체 흥행을 견인했다. 연초에는 '비엔나 1900'과 같은 대형 기획 전시가 흥행의 불씨를 지폈지만, 별다른 블록버스터급 전시가 없었던 3월 이후에도 증가세는 꺾이지 않았다. 특히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공개된 6월 말 직후인 7~8월에는 내국인 관람객 수가 전년 대비 82만 명이나 늘어나는 기염을 토했다. 이는 전통적인 여름철 '박캉스(박물관+바캉스)' 수요에 더해, 작품을 통해 유입된 새로운 관심과 박물관 굿즈에 대한 구매 열기가 더해진 결과다.

 


박물관 측은 이번 성과를 두고 "전 세계 박물관과 미술관을 통틀어 상위 5위권에 해당하는 수준"이라며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 영국박물관 등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하지만 미술계 안팎에서는 이러한 단순 비교가 부적절하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세계적인 박물관들의 경우 관람객의 절반 이상이 외국인 관광객으로 채워지는 반면, 국립중앙박물관은 관람객의 절대다수인 96% 이상이 내국인이기 때문이다. 국민들이 자국 문화에 뜨거운 관심을 보이는 것은 매우 긍정적인 현상이지만, 이를 근거로 세계 유수의 박물관과 직접적인 수치를 비교하며 자축하는 것은 성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처럼 폭발적인 양적 팽창 이면에는 질적 저하에 대한 우려라는 그림자도 짙어지고 있다. 관람객이 급증하면서 주차난은 물론, 관람 동선이 엉키고 소음이 발생하는 등 쾌적한 관람 환경이 위협받고 있다는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이제는 관람객 숫자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 관람 환경 개선과 같은 내실을 다지는 데 집중해야 할 때라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심지어 박물관 관계자 출신 사이에서는 안정적인 재원 확보와 쾌적한 환경 조성을 위해 현재의 무료 입장을 유료로 전환하는 방안까지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대안까지 거론되는 상황이다.

 

'위키드'·'알라딘'이 다 해먹었다…뮤지컬·대중음악만 웃은 3분기 공연계

액은 약 4615억 원에 달하며, 이는 관련 데이터 집계를 시작한 2019년 이래 3분기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3846억 원과 비교해도 20%나 증가한 놀라운 성장세다. 이처럼 공연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른 배경에는 대형 팬덤을 움직이는 대중음악 콘서트와 꾸준히 사랑받는 블록버스터 뮤지컬, 그리고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인 무용 장르의 약진이 있었다. 사실상 이 세 장르가 전체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고 봐도 무방하다.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의 중심에는 단연 대중음악과 뮤지컬이 자리 잡고 있다. 대중음악 장르는 3분기에만 약 2637억 원의 티켓 판매를 기록하며 작년 동기 대비 22.8%라는 높은 성장률을 보였고, 뮤지컬 역시 약 1387억 원의 판매액으로 14.9% 증가하며 시장의 굳건한 한 축임을 증명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무용 장르의 비약적인 성장이다. 판매액 자체는 약 64억 원으로 다른 두 장르에 비해 작지만, 성장률은 무려 96.2%에 달하며 거의 두 배 가까이 급증했다. 이는 무용 공연에 대한 관객들의 관심과 수요가 이례적으로 크게 확대되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향후 시장의 다크호스로 떠오를 가능성을 시사한다.하지만 모든 장르가 이러한 축제를 함께 즐긴 것은 아니다. 연극계는 오히려 깊은 그늘에 잠겼다. 3분기 동안 무대에 오른 연극 공연 수는 총 1124건으로 지난해보다 23.4%나 늘어났지만, 정작 티켓 판매액은 약 183억 원으로 오히려 13.5% 감소하는 기현상이 발생했다. 이는 공연의 공급은 양적으로 팽창했지만, 관객들의 발걸음이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뼈아픈 분석으로 이어진다. 수많은 작품이 관객을 만나기 위해 문을 열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관객의 선택을 받지 못해 흥행으로 이어지지 못한 연극이 많았다는 의미다. 시장의 양극화가 뚜렷해진 셈이다.실제로 3분기 티켓 판매액 상위 20개 공연의 면면을 살펴보면 이러한 쏠림 현상은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상위 20개 작품 중 무려 12개가 대중음악 콘서트였고, 7개는 대형 뮤지컬이 차지했다. 특히 최상위권인 1위부터 3위까지는 뮤지컬 '위키드' 내한 공연, '알라딘' 부산 투어, '팬텀' 서울 공연이 나란히 이름을 올렸으며, 그 뒤를 이어 블랙핑크의 월드투어와 싸이의 '흠뻑쇼'가 4, 5위를 기록하며 아이돌과 대형 가수의 콘서트 파워를 입증했다. 결국 소수의 블록버스터 뮤지컬과 막강한 팬덤을 등에 업은 대중음악 공연이 전체 시장의 파이를 키우는 동안, 연극계는 그 온기를 제대로 느끼지 못한 채 힘겨운 시간을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