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최신

경제최신

이재용 회장 취임 3주년 '겹경사'…삼성전자, 반도체·AI 날개 달고 '10만전자' 등극

 삼성전자 주가가 27일 사상 최초로 10만 원을 돌파하며 '10만전자' 시대를 열었다. 이날 오전 9시 32분 기준 삼성전자 주가는 전장 대비 2.6%(2,600원) 상승한 10만 1,400원에 거래되었으며, 시가총액은 599조 6,600억 원을 기록했다. 장중 최고가는 10만 1,900원까지 치솟으며 역사적인 기록을 세웠다. 이러한 주가 상승은 글로벌 반도체 업황의 회복세와 함께 인공지능(AI) 기업들과의 활발한 협력, 그리고 고대역폭 메모리(HBM) 경쟁력 강화에 대한 시장의 높은 기대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이날 회장 취임 3주년을 맞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사법 리스크 해소 이후 테슬라, 애플, 오픈AI 등 글로벌 유수 기업들과의 광폭 협력을 이끌어낸 점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과거 삼성전자 주가는 지난해 초 7만 9,600원으로 고점을 찍은 뒤 같은 해 3월 말 8만 원을 돌파했으나, 이후 하락세로 전환하여 작년 11월 14일 장중 4만 9,900원까지 떨어지는 등 5만 원대 박스권에 머무르는 부진을 겪었다. 이러한 주가 하락은 주로 반도체 사업의 부진에 기인했으며, 올해 1분기에는 SK하이닉스에 글로벌 D램 1위 자리를 33년 만에 내주기도 했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10조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결정하고 주요 경영진들이 자사주 매입에 연이어 나서면서 투자 심리 개선을 유도했다. 그 결과 올해 6월에는 주가가 6만 원대로 진입했으며, 소액주주 수도 1년 전 424만 7,611명에서 80만 명 증가한 504만 9,085명으로 회복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신뢰를 되찾았다.

 


최근 삼성전자 주가는 이달 들어 9만 원을 넘어선 이후 꾸준히 우상향 곡선을 그려왔다. 이는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코스피 시장의 활황과 미국 기술주 훈풍, 그리고 삼성전자의 3분기 최대 실적 달성 이후 커진 기대감에 힘입은 바 크다. 삼성전자는 연결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 12조 1,000억 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31.81% 증가하며 지난해 2분기 이후 5분기 만에 10조 원대 영업이익을 회복했다. 매출액은 86조 원으로 분기 최초 80조 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으며, 특히 반도체 사업은 3분기에 최대 6조 원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관측되어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이러한 실적 개선과 함께 삼성전자의 잇따른 수주 소식과 HBM 경쟁력 회복 또한 주가 상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올해 7월 테슬라와 23조 원 규모의 역대 최대 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으며, 8월에는 애플 아이폰용 이미지센서로 추정되는 칩 공급 계약을 맺는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했다. 또한 700조 원 규모로 추진되는 오픈AI의 초거대 AI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도 참여하며 AI 시대 핵심 파트너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 재계에서는 7월 사법 리스크를 벗어난 이재용 회장이 글로벌 재계 및 IT 거물들과 만나며 이룬 광폭 행보의 성과로 평가하고 있다. 최근 엔비디아에 HBM3E(5세대) 공급 초읽기에 들어간 데 이어, HBM4(6세대) 공급을 위한 인증 작업도 순조롭게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져 삼성전자의 미래 성장 동력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높이고 있다.

 

'위키드'·'알라딘'이 다 해먹었다…뮤지컬·대중음악만 웃은 3분기 공연계

액은 약 4615억 원에 달하며, 이는 관련 데이터 집계를 시작한 2019년 이래 3분기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3846억 원과 비교해도 20%나 증가한 놀라운 성장세다. 이처럼 공연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른 배경에는 대형 팬덤을 움직이는 대중음악 콘서트와 꾸준히 사랑받는 블록버스터 뮤지컬, 그리고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인 무용 장르의 약진이 있었다. 사실상 이 세 장르가 전체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고 봐도 무방하다.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의 중심에는 단연 대중음악과 뮤지컬이 자리 잡고 있다. 대중음악 장르는 3분기에만 약 2637억 원의 티켓 판매를 기록하며 작년 동기 대비 22.8%라는 높은 성장률을 보였고, 뮤지컬 역시 약 1387억 원의 판매액으로 14.9% 증가하며 시장의 굳건한 한 축임을 증명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무용 장르의 비약적인 성장이다. 판매액 자체는 약 64억 원으로 다른 두 장르에 비해 작지만, 성장률은 무려 96.2%에 달하며 거의 두 배 가까이 급증했다. 이는 무용 공연에 대한 관객들의 관심과 수요가 이례적으로 크게 확대되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향후 시장의 다크호스로 떠오를 가능성을 시사한다.하지만 모든 장르가 이러한 축제를 함께 즐긴 것은 아니다. 연극계는 오히려 깊은 그늘에 잠겼다. 3분기 동안 무대에 오른 연극 공연 수는 총 1124건으로 지난해보다 23.4%나 늘어났지만, 정작 티켓 판매액은 약 183억 원으로 오히려 13.5% 감소하는 기현상이 발생했다. 이는 공연의 공급은 양적으로 팽창했지만, 관객들의 발걸음이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뼈아픈 분석으로 이어진다. 수많은 작품이 관객을 만나기 위해 문을 열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관객의 선택을 받지 못해 흥행으로 이어지지 못한 연극이 많았다는 의미다. 시장의 양극화가 뚜렷해진 셈이다.실제로 3분기 티켓 판매액 상위 20개 공연의 면면을 살펴보면 이러한 쏠림 현상은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상위 20개 작품 중 무려 12개가 대중음악 콘서트였고, 7개는 대형 뮤지컬이 차지했다. 특히 최상위권인 1위부터 3위까지는 뮤지컬 '위키드' 내한 공연, '알라딘' 부산 투어, '팬텀' 서울 공연이 나란히 이름을 올렸으며, 그 뒤를 이어 블랙핑크의 월드투어와 싸이의 '흠뻑쇼'가 4, 5위를 기록하며 아이돌과 대형 가수의 콘서트 파워를 입증했다. 결국 소수의 블록버스터 뮤지컬과 막강한 팬덤을 등에 업은 대중음악 공연이 전체 시장의 파이를 키우는 동안, 연극계는 그 온기를 제대로 느끼지 못한 채 힘겨운 시간을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