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최신

경제최신

'하자 아파트' 오명 쓴 건설사 어디?… 5년간 1413건 '압도적 1위'

 국토교통부가 전국 공동주택의 하자 현황을 투명하게 공개하며 부실시공 건설사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국토부가 20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하자 판정 결과'에 따르면, 최근 6개월(2025년 3월~8월) 동안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로부터 가장 많은 하자 판정을 받은 건설사는 HJ중공업으로, 총 154건의 하자가 확인되어 불명예 1위에 이름을 올렸다. 그 뒤를 이어 제일건설이 135건, 순영종합건설이 119건, 대우건설이 82건, 혜우이앤씨가 71건으로 상위 5위권을 형성했다. 특히, 올해 시공능력평가 10위권에 속하는 대형 건설사 중에서는 대우건설뿐만 아니라 현대건설(18건)과 SK에코플랜트(17건)도 상위 20개 명단에 포함되어, 브랜드 명성과 실제 시공 품질 사이의 괴리를 드러냈다. 이는 정부가 2023년 9월부터 6개월 주기로 하자 현황을 공개하기로 한 이후, 건설업계의 경각심을 일깨우고 소비자의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이다.

 

조사 기간을 최근 5년(2020년 9월~2025년 8월)으로 확대하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5년간 누적된 하자 판정 건수에서는 GS건설이 총 1,413건으로 다른 건설사들을 압도하는 수치를 기록하며 최다 하자 발생 건설사라는 오명을 썼다. 이는 장기간에 걸쳐 시공 품질 관리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GS건설의 뒤를 이어 계룡건설산업이 605건, 대방건설이 503건, 대명종합건설이 346건, SM상선이 323건으로 누적 하자 건수 상위권에 자리했다. 국내 굴지의 대형 건설사들 역시 자유롭지 못했다. 시공능력평가 10위권 내에서 GS건설 외에도 대우건설(311건), 현대건설(270건), 현대엔지니어링(262건) 등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다수의 브랜드 아파트 건설사들이 누적 하자 건수 상위 명단에 포함되어 충격을 더했다.

 


다만, 단순 하자 건수가 많다는 사실이 곧바로 부실시공의 직접적인 척도가 되기는 어렵다는 반론도 존재한다. 아파트 공급 물량이 많은 대형 건설사의 경우, 자연스럽게 하자 접수 및 판정 건수도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 공급 세대수 대비 하자 판정 건수를 나타내는 '하자판정 비율'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전혀 다른 결과가 나타난다. 최근 6개월간 하자판정 비율이 가장 높았던 곳은 두손종합건설로 무려 125%에 달했으며, 다우에이앤씨(72.7%), 한양종합건설(71.7%) 등 주로 중소·중견 건설사들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는 절대적인 하자 건수는 적더라도, 실제로는 공급한 아파트 곳곳에서 심각한 수준의 하자가 발생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지표로 해석될 수 있다. 5년 누계 기준으로도 하자판정 비율 상위권은 대부분 중소 건설사들이 차지해, 기업 규모와 무관하게 철저한 품질 관리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국토교통부는 앞으로도 주기적인 명단 공개를 통해 건설사의 자발적인 품질 개선을 유도하고, 주택 수요자들이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확고히 했다. 김영아 국토부 주택건설공급과장은 "하자 관련 정보의 지속적인 공개는 소비자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건설사에게는 품질 향상의 동기를 부여하는 중요한 정책"이라며, "이를 통해 건전한 주택 공급 시장을 조성하고 국민의 주거 안정을 돕겠다"고 강조했다. 결국, 건설사들은 더 이상 브랜드 인지도 뒤에 숨어 시공 품질 문제를 외면할 수 없게 되었으며, 장기적인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책임지는 자세가 더욱 중요해졌다.

 

 

 

‘킹더랜드’ 촬영지부터 ‘인생샷’ 오렌지농장까지…요즘 방콕·치앙마이 여행법

적으로 개최되었고, 타이비엣젯 항공의 신규 취항으로 하늘길까지 넓어지면서 두 나라 사이의 거리는 더욱 가까워졌다. 이러한 분위기는 여행지에서도 고스란히 느껴진다. 방콕 짜오프라야강의 디너 크루즈에서는 싸이의 '강남스타일'부터 로제의 '아파트'에 이르기까지, 시대를 아우르는 K팝이 울려 퍼지면 국적을 불문한 여행객들이 함께 춤을 추며 어우러진다. 넷플릭스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K팝 아이돌의 복장을 한 여행객이 나타나 환호를 받는 모습은 이제 낯설지 않은 풍경으로, 양국의 우정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음을 실감케 한다.업그레이드된 방콕의 중심에는 단연 수쿰빗 거리가 있다. 과거의 낡은 이미지를 벗고 스마트한 도시의 면모를 갖춘 이곳은 코리아타운을 중심으로 새로운 활력이 넘친다. 수쿰빗 플라자 입구의 대형 스크린에서는 K팝 영상이 쉴 새 없이 흘러나오고, '일미정', '광한루', '조방낙지' 등 정겨운 한글 간판을 내건 식당들은 현지인과 관광객들의 발길을 사로잡는다. 인근의 한국문화원은 태국 내 K컬처 확산의 전초기지 역할을 톡톡히 해내며 태국을 한류 종합 호감도 3위 국가로 이끄는 데 기여했다. 주변으로는 쉐라톤, 웨스틴 등 최고급 호텔들이 마천루를 이루고 있으며, 벤차시리 공원, 엠포리엄 백화점 등 주요 관광지와도 인접해 여행의 편의성을 더한다.방콕의 매력은 수쿰빗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JTBC 드라마 '킹더랜드'의 촬영지로 알려진 새벽사원, 아이콘시암, 버티고 문바 등은 새로운 필수 코스로 떠올랐다. 특히 복합 쇼핑몰 아이콘시암은 디너 크루즈의 출발점이자 그 자체로 거대한 볼거리이며, 최근 문을 연 '두짓 센트럴파크'는 550개 이상의 매장과 70여 개의 미슐랭 가이드 인증 맛집을 품은 쇼핑의 천국이다. 이곳의 독특한 'X'자 에스컬레이터 포토존과 숲처럼 꾸며진 옥상 정원은 인생샷을 남기려는 이들로 붐빈다. 방콕 왕궁의 에메랄드 사원과 거대한 와불이 주는 감동은 여전하며, 도시 곳곳에서 현대적인 세련미와 유구한 역사가 흥미롭게 공존한다.방콕의 활기찬 분위기와는 또 다른 매력을 지닌 치앙마이는 '맛있는 녹색 여행지'라는 새로운 수식어를 얻었다. 님만해민 거리의 복합 문화공간 '원 님만'에서는 현대적 감각과 태국 북부 란나 문화가 어우러진 쇼핑과 미식, 예술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다. 산속 깊숙이 자리한 '마이 가든 오렌지농장'에서는 직접 오렌지와 딸기를 따고, 아름다운 전망을 배경으로 '티크닉(차+피크닉)'을 즐기며 자연 속에서 온전한 휴식을 경험할 수 있다. 여행의 피로를 풀고 싶다면 란나 왕국의 귀족들이 받던 전통 마사지를 체험할 수 있는 '지라 스파'가 제격이다. 지역 특산 허브를 이용한 찜질과 아로마테라피는 몸과 마음에 특별한 치유를 선사하며, 다시 찾은 태국 여행에 따뜻하고 깊은 인상을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