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연예

나솔사계 뒤끝전쟁..미스터 나 “왕따몰이 그만, 책임은 따로 있다”


ENA·SBS플러스 예능 ‘나는 SOLO: 사랑을 계약하다(나솔사계)’ 출연자 미스터 나가 ‘여성 출연자들의 23기 옥순 왕따 논란’과 관련해 23기 옥순의 행동을 비판하는 장문의 글을 올리며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24기 옥순과 최종 커플이었던 그는 21일 자신의 계정에 “각자의 사정은 있을 수 있지만 다수의 따돌림으로 몰아가선 안 된다”는 멘트를 덧붙이며 논란의 배경과 개인적 견해를 상세히 밝혔다.그는 방송 이후 일부 출연자들이 과도한 비난과 인신공격, 사생활 침해 수준의 개인 메시지에 시달리고 있다며 “함께 인연을 맺은 동생들이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고 나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23기 옥순을 겨냥해 “좋은 이미지로 주목받은 만큼 적절히 수용하고 마무리했어야 하는데, 애매하고 지저분하게 끝내 본인은 비련의 여주인공, 다른 사람들은 나쁜 사람들로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미스터 나는 23기 옥순과 23순자의 사이가 출연 전부터 소원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23기 옥순이 23영철과의 관계를 직접 확인하려 전화했고, 자기소개 시간과 대화 도중에도 “그거 우리 기수 영철 오빠 아니냐” 등 전 남자친구를 반복 거론해 23순자를 난처하게 만들었다고 했다. 또한 여러 남성 출연자들의 관심을 받은 그가 선택을 지연해 “타 출연자들의 대화 기회를 빼앗겼다고 느낄 여지가 있다”며 “본인의 선택에 집중했다면 다른 이들도 러브라인을 형성하며 진행될 수 있었다”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24기 옥순을 둘러싼 편집 논란도 언급했다. 그는 “23기 옥순이 남성 출연자와 대화 중 24기 옥순을 비하하는 표현을 했고, 그 부분은 편집을 요청해 실제 방송에 나오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다른 출연자들 역시 “우리는 그런 요청을 생각지도 못했다”, “작은 귓속말 수준이었는데 방송에선 압박처럼 보였다”고 토로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왕따 의혹 전반에 대해선 “우리가 누군가를 따돌리거나 괴롭히는 바보 같은 행동을 하지 않았다. 방송에 나올 걸 알고 행동했다”고 반박했다. 또 “마음에 안 드는 사람과 억지로 친해져야 하느냐. 출연자 간에도 호불호가 있고 친분 강도 차이가 있을 뿐, 그것이 왕따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승자의 기쁨을 조용히 마무리했다면 좋았겠지만, 원만했던 출연자들까지 피해를 입는 상황을 더는 외면할 수 없었다”며 “부당함 앞에 침묵하면 결국 나를 위해 말해 줄 사람도 남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미스터 나는 ‘나솔사계’에서 24기 옥순과 최종 커플로 선정됐으나, 방송 직후 라이브에서 “개인적으로 만남은 가졌지만 생각 차이로 현재는 좋은 오빠·동생 사이”라고 관계 변화를 밝혔다. 1983년생인 그는 고려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여의도 증권사에서 채권 매매 및 중개 업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키드'·'알라딘'이 다 해먹었다…뮤지컬·대중음악만 웃은 3분기 공연계

액은 약 4615억 원에 달하며, 이는 관련 데이터 집계를 시작한 2019년 이래 3분기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3846억 원과 비교해도 20%나 증가한 놀라운 성장세다. 이처럼 공연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른 배경에는 대형 팬덤을 움직이는 대중음악 콘서트와 꾸준히 사랑받는 블록버스터 뮤지컬, 그리고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인 무용 장르의 약진이 있었다. 사실상 이 세 장르가 전체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고 봐도 무방하다.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의 중심에는 단연 대중음악과 뮤지컬이 자리 잡고 있다. 대중음악 장르는 3분기에만 약 2637억 원의 티켓 판매를 기록하며 작년 동기 대비 22.8%라는 높은 성장률을 보였고, 뮤지컬 역시 약 1387억 원의 판매액으로 14.9% 증가하며 시장의 굳건한 한 축임을 증명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무용 장르의 비약적인 성장이다. 판매액 자체는 약 64억 원으로 다른 두 장르에 비해 작지만, 성장률은 무려 96.2%에 달하며 거의 두 배 가까이 급증했다. 이는 무용 공연에 대한 관객들의 관심과 수요가 이례적으로 크게 확대되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향후 시장의 다크호스로 떠오를 가능성을 시사한다.하지만 모든 장르가 이러한 축제를 함께 즐긴 것은 아니다. 연극계는 오히려 깊은 그늘에 잠겼다. 3분기 동안 무대에 오른 연극 공연 수는 총 1124건으로 지난해보다 23.4%나 늘어났지만, 정작 티켓 판매액은 약 183억 원으로 오히려 13.5% 감소하는 기현상이 발생했다. 이는 공연의 공급은 양적으로 팽창했지만, 관객들의 발걸음이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뼈아픈 분석으로 이어진다. 수많은 작품이 관객을 만나기 위해 문을 열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관객의 선택을 받지 못해 흥행으로 이어지지 못한 연극이 많았다는 의미다. 시장의 양극화가 뚜렷해진 셈이다.실제로 3분기 티켓 판매액 상위 20개 공연의 면면을 살펴보면 이러한 쏠림 현상은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상위 20개 작품 중 무려 12개가 대중음악 콘서트였고, 7개는 대형 뮤지컬이 차지했다. 특히 최상위권인 1위부터 3위까지는 뮤지컬 '위키드' 내한 공연, '알라딘' 부산 투어, '팬텀' 서울 공연이 나란히 이름을 올렸으며, 그 뒤를 이어 블랙핑크의 월드투어와 싸이의 '흠뻑쇼'가 4, 5위를 기록하며 아이돌과 대형 가수의 콘서트 파워를 입증했다. 결국 소수의 블록버스터 뮤지컬과 막강한 팬덤을 등에 업은 대중음악 공연이 전체 시장의 파이를 키우는 동안, 연극계는 그 온기를 제대로 느끼지 못한 채 힘겨운 시간을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