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환자 95%가 20대 여성…'신경성 폭식증'은 왜 그녀들을 공격하는가

 우리나라 20대 청년층이 거식증과 폭식증으로 대표되는 섭식장애의 늪에 빠져들고 있다. 사회적으로 가장 활발해야 할 시기에 남몰래 음식과 사투를 벌이며 병원을 찾는 청년들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실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섭식장애로 진료를 받은 20대 환자 수는 2020년 2203명에서 꾸준히 증가해 2024년에는 6월까지만 집계했음에도 2538명을 기록했다.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약 4년 반 동안 병원을 찾은 20대 섭식장애 환자의 총합은 1만 3949명에 달해, 이 문제가 더 이상 일부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 청년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현상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섭식장애는 단순히 음식을 많이 먹거나 적게 먹는 습관의 문제가 아니다. 신경성 식욕부진(거식증)부터 신경성 폭식증, 비정형적인 증상들, 그리고 다른 심리적 문제와 연관된 과식이나 구토까지 총 9가지의 복잡한 상병코드로 진단되는 정신건강의학적 질환이다. 특히 이번 통계에서 20대 환자들이 가장 많이 진단받은 질환은 '신경성 폭식증'이었다. 이는 짧은 시간 안에 스스로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양의 음식을 먹어치운 뒤, 체중 증가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과 죄책감 때문에 억지로 구토를 하거나 설사약, 이뇨제 등을 남용하는 행위를 반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과정에서 환자는 신체적 손상은 물론, 극심한 정신적 고통을 겪게 된다.

 


이번 조사에서 드러난 또 하나의 주목할 만한 점은 신경성 폭식증이 특정 성별에 압도적으로 집중되어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2020년부터 집계된 20대 신경성 폭식증 환자 중 여성은 7528명으로, 전체의 약 95%라는 경이적인 비율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남성 환자는 414명에 불과해, 20대 여성들이 섭식장애 문제에 얼마나 취약하게 노출되어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이에 대해 전문가는 생물학적 원인과 더불어, 마른 몸매를 강요하고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 그리고 왜곡된 신체 이미지를 갖게 하는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한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이러한 사회 환경적 영향이 여성에게 더욱 가혹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섭식장애는 결코 가볍게 여길 수 없는, 때로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이주영 의원은 섭식장애가 건강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문제임을 강조하며, 심할 경우 특수 영양 공급이나 입원 치료가 필요하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따라서 본인이나 주변에 섭식장애가 의심되는 증상이 보인다면 이를 개인의 의지 문제로 치부하지 말고, 최대한 빨리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고 통합적인 의료 상담을 시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치료만이 깊은 고통의 굴레에서 벗어나 건강한 삶을 되찾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위키드'·'알라딘'이 다 해먹었다…뮤지컬·대중음악만 웃은 3분기 공연계

액은 약 4615억 원에 달하며, 이는 관련 데이터 집계를 시작한 2019년 이래 3분기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3846억 원과 비교해도 20%나 증가한 놀라운 성장세다. 이처럼 공연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른 배경에는 대형 팬덤을 움직이는 대중음악 콘서트와 꾸준히 사랑받는 블록버스터 뮤지컬, 그리고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인 무용 장르의 약진이 있었다. 사실상 이 세 장르가 전체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고 봐도 무방하다.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의 중심에는 단연 대중음악과 뮤지컬이 자리 잡고 있다. 대중음악 장르는 3분기에만 약 2637억 원의 티켓 판매를 기록하며 작년 동기 대비 22.8%라는 높은 성장률을 보였고, 뮤지컬 역시 약 1387억 원의 판매액으로 14.9% 증가하며 시장의 굳건한 한 축임을 증명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무용 장르의 비약적인 성장이다. 판매액 자체는 약 64억 원으로 다른 두 장르에 비해 작지만, 성장률은 무려 96.2%에 달하며 거의 두 배 가까이 급증했다. 이는 무용 공연에 대한 관객들의 관심과 수요가 이례적으로 크게 확대되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향후 시장의 다크호스로 떠오를 가능성을 시사한다.하지만 모든 장르가 이러한 축제를 함께 즐긴 것은 아니다. 연극계는 오히려 깊은 그늘에 잠겼다. 3분기 동안 무대에 오른 연극 공연 수는 총 1124건으로 지난해보다 23.4%나 늘어났지만, 정작 티켓 판매액은 약 183억 원으로 오히려 13.5% 감소하는 기현상이 발생했다. 이는 공연의 공급은 양적으로 팽창했지만, 관객들의 발걸음이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뼈아픈 분석으로 이어진다. 수많은 작품이 관객을 만나기 위해 문을 열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관객의 선택을 받지 못해 흥행으로 이어지지 못한 연극이 많았다는 의미다. 시장의 양극화가 뚜렷해진 셈이다.실제로 3분기 티켓 판매액 상위 20개 공연의 면면을 살펴보면 이러한 쏠림 현상은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상위 20개 작품 중 무려 12개가 대중음악 콘서트였고, 7개는 대형 뮤지컬이 차지했다. 특히 최상위권인 1위부터 3위까지는 뮤지컬 '위키드' 내한 공연, '알라딘' 부산 투어, '팬텀' 서울 공연이 나란히 이름을 올렸으며, 그 뒤를 이어 블랙핑크의 월드투어와 싸이의 '흠뻑쇼'가 4, 5위를 기록하며 아이돌과 대형 가수의 콘서트 파워를 입증했다. 결국 소수의 블록버스터 뮤지컬과 막강한 팬덤을 등에 업은 대중음악 공연이 전체 시장의 파이를 키우는 동안, 연극계는 그 온기를 제대로 느끼지 못한 채 힘겨운 시간을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