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타임

스포츠타임

영웅에서 역적으로… 1타점 치고 ‘황당 점프’ 한 번에 찬물 끼얹은 최악의 플레이

 월드시리즈 진출을 향한 마지막 관문인 아메리칸리그 챔피언십시리즈 7차전, 그 운명의 무대에서 시애틀 매리너스의 중심 타자 조시 네일러가 팀의 사기를 꺾는 기이하고 어처구니없는 플레이로 팬들에게 큰 실망감을 안겼다. 21일(한국시간) 캐나다 토론토의 로저스 센터에서 열린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최종전에서 3번 타자 겸 1루수로 선발 출전한 네일러는 경기 초반 영웅이 될 기회를 스스로 걷어찼다. 그는 1회 초 1사 2루 상황, 상대 선발 셰인 비버의 너클 커브가 가운데로 몰리자 이를 놓치지 않고 우전 안타로 연결하며 2루 주자를 홈으로 불러들였다. 포스트시즌의 압박감 속에서 터진 귀중한 선취점으로 시애틀이 기선제압에 성공하는 듯 보였다.

 

하지만 시애틀의 좋은 흐름은 단 한 순간의 황당한 플레이로 완전히 끊기고 말았다. 선취점의 기쁨이 채 가시기도 전, 다음 타자 호르헤 폴랑코가 평범한 내야 땅볼을 쳤다. 병살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에서 1루 주자였던 네일러는 2루로 향하며 상식 밖의 행동을 보였다. 그는 병살을 막기 위한 일반적인 슬라이딩 대신, 2루수 어니 클레멘트의 1루 송구를 방해할 목적으로 마치 축구 경기에서 프리킥을 막기 위해 솟구쳐 오르는 수비벽과 같은 기이한 형태로 수직 점프를 시도했다. 클레멘트가 던진 공은 정확히 점프한 네일러의 등에 맞고 굴절되었고, 그사이 타자 주자 폴랑코는 1루를 밟으며 이닝이 계속되는 듯 보였다.

 


이 어처구니없는 장면에 존 슈나이더 토론토 감독은 즉각 더그아웃을 박차고 나와 강력하게 항의했다. 주자가 명백하게 송구를 방해했다는 주장이었다. 결국 6명의 심판 전원이 모여 오랜 시간 합의하는 진풍경이 펼쳐졌고, 심판진은 네일러의 행위가 고의적인 송구 방해라고 판단했다. 그 결과, 송구 방해로 인한 주자 아웃은 물론, 타자 주자 폴랑코까지 아웃 처리되는 더블 플레이가 선언되며 시애틀의 1회 초 공격은 허무하게 종료되었다. 주자가 병살을 막기 위해 거칠게 슬라이딩하거나 주루 경로를 미묘하게 바꾸는 것은 때로 '영리한 플레이'로 평가받기도 한다. 하지만 이날 네일러가 보여준 수직 점프는 그 선을 한참 넘은 명백한 비신사적 행위이자 '본헤드 플레이'였다.

 

한순간의 잘못된 판단으로 추가 득점 기회를 날려버리고 단 1점을 뽑는 데 그친 시애틀은 곧바로 위기를 맞았다. 흐름을 완전히 넘겨준 시애틀은 이어진 1회 말 수비에서 토론토에 곧바로 동점을 허용하며 경기는 1-1 원점으로 돌아갔다. 팀의 공격을 이끌어야 할 중심 타자가 만들어낸 선취점의 공로는 어이없는 플레이 하나로 순식간에 사라졌고, 오히려 팀을 위기에 빠뜨리는 최악의 결과로 이어지며 경기 분위기는 순식간에 토론토 쪽으로 넘어가고 말았다.

 

음성군, 부끄러운 역사와 정면으로 마주하다…'경호정'의 재발견

어있기 때문이다. 1934년, 당시 조선총독부 음성군수였던 권종원은 일본 왕세자 아키히토의 탄생을 축하하고 일제에 대한 충성을 과시하기 위해 이 정자를 세웠다. 더욱 충격적인 사실은 정자가 위치한 인공 연못과 섬의 구조가 일장기를 형상화했다는 점이다. 네모난 연못 안에 둥근 섬을 배치하는 방식으로, 교묘하게 일제의 상징을 숨겨 놓은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도 불구하고, 기존 안내판에는 경호정이 친일 목적의 조형물이라는 설명이 빠져 있어 많은 이들의 비판을 받아왔다. 이번 안내판 교체는 뒤늦게나마 역사를 바로잡고, 부끄러운 과거를 후대에 교훈으로 남기기 위한 음성군의 의지를 보여주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경호정 건립 과정에서 드러난 일제의 만행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1500평에 달하는 연못을 파고 그 안에 200평 규모의 섬을 만드는 대규모 공사에는 지역 주민들이 강제로 동원되었다는 사실이 전해진다. 이는 단순한 건축물 건립을 넘어, 당시 우리 민족이 겪어야 했던 억압과 수탈의 역사를 고스란히 증명하는 대목이다. 더욱이 경호정 옆에는 ‘독립기념비’라는 이름의 비석이 서 있는데, 이 또한 본래는 아키히토의 출생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것이었다. 광복 이후에도 철거되지 못한 채 글씨만 바꿔 오늘에 이르고 있는 이 비석은, 청산되지 못한 친일 잔재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또 하나의 상징물이다. 이처럼 설성공원 곳곳에 남아있는 일제의 흔적들은 우리에게 잊지 말아야 할 아픈 역사를 끊임없이 상기시키고 있다.지역 사회에서는 경호정과 기념비의 처리 문제를 두고 오랜 시간 논쟁이 이어져 왔다. 일제의 잔재물이므로 철거해야 한다는 주장과, 아픈 역사도 역사이므로 보존하여 후대에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다. 오랜 논의 끝에 음성군은 전문가 자문과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존치’를 결정했다. 단순히 보존하는 것을 넘어, 그 건립 배경과 역사적 의미를 명확히 알리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이다. 수정된 안내판에 ‘경호정은 친일 인물로 분류되는 권종원이 음성군수로 재임할 때 일본에 충성을 맹세하는 의미로 세운 일제 잔재물이다’라는 문구를 명시한 것은 이러한 결정의 결과물이다. 부끄러운 역사를 감추기보다 정면으로 마주하고, 이를 통해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다짐의 표현인 셈이다.이번 음성군의 결정은 우리 사회에 여전히 남아있는 친일 잔재 청산 문제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무조건적인 철거만이 능사가 아니라, 그 역사적 맥락을 정확히 기록하고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는 것 또한 의미 있는 청산의 방식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음성군은 앞으로도 지역 내에 남아있는 일제 잔재물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그 성격에 따라 철거 또는 보존의 원칙을 적용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번 경호정 안내판 교체를 시작으로, 우리 주변에 숨어있는 더 많은 친일의 흔적들이 역사의 심판대 위에 오르게 되기를 기대한다. 아픈 과거를 기억하고 되새기는 노력을 통해, 우리는 비로소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