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타임

스포츠타임

7년 만에 가을야구 갔더니…원투펀치 동반 이탈, 꿈은 한 시즌 만에 끝?

 한화 이글스의 에이스, 코디 폰세가 사실상 KBO리그와의 작별을 고했다. 지난달 31일,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LG의 우승이 확정되는 순간을 그라운드에서 지켜본 그는 동료들이 모두 떠난 뒤에도 한동안 자리를 뜨지 못했다. 정규시즌 29경기에 등판해 180.2이닝을 소화하며 17승 1패, 평균자책점 1.89, 그리고 KBO 단일 시즌 최다인 252탈삼진을 기록하며 투수 4관왕을 휩쓴 그에게 첫 번째 좌절의 순간이었다. 팬들에게 손을 흔들어 마지막 인사를 건네고, 마운드의 흙을 주머니에 담는 그의 모습은 한화에서의 마지막을 예감하는 듯한 의식처럼 보였다.

 

폰세의 압도적인 성적은 곧바로 메이저리그의 뜨거운 관심으로 이어졌다. 시즌 내내 미국 스카우트들을 몰고 다녔던 그는 KBO리그를 발판 삼아 빅리그로 복귀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미 현지에서는 NC 다이노스 출신 에릭 페디가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맺었던 2년 1500만 달러 계약을 뛰어넘는 조건으로 복귀할 것이라는 구체적인 예상까지 나오고 있다. 뛰어난 탈삼진율과 향상된 구위를 근거로 여러 구단이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폰세 자신도 SNS를 통해 동료들과 팬들에게 작별을 암시하는 글을 남기며 메이저리그 재도전 의사를 분명히 했다. 한화 구단은 재계약 의사를 밝히면서도 현실적인 어려움을 인정하며 일찌감치 이별을 준비해왔다.

 


폰세의 이탈이 기정사실화되는 가운데, 한화의 고민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33승을 합작한 또 다른 축, 2선발 라이언 와이스의 거취마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와이스 역시 30경기에서 16승 5패, 평균자책점 2.87, 207탈삼진이라는 리그 에이스급 성적을 기록하며 메이저리그의 시야에 들어왔다. 만약 와이스까지 팀을 떠난다면, 7년 만의 가을야구 진출을 이끈 원투펀치를 모두 잃는 최악의 시나리오와 마주하게 된다. 이는 다음 시즌 구상 자체를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야 하는 심각한 전력 누수로 이어진다.

 

다만 한화는 와이스의 잔류에는 일말의 희망을 걸고 있다. 메이저리그 구단들이 와이스를 선발이 아닌 불펜 자원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점이 변수다. KBO리그에서 에이스로 활약한 그가 빅리그에서 불확실한 입지와 상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을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손혁 단장은 와이스와 식사를 함께하는 등 공을 들이며, 두 선수 모두 한국 팬들의 열정과 생활에 만족감을 표했다는 점을 긍정적인 신호로 보고 있다. 샐러리캡 내에서 최선의 제안을 준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높아진 팬들의 눈높이를 맞추기 위한 한화의 가장 큰 숙제는 결국 강력한 원투펀치의 재건에 달려있다.

 

'단풍 구경 오지 마세요?'…결국 대전시가 칼 빼 든 '이곳'의 교통 대란

74만 명이 다녀갔고, 이 중 27%에 달하는 방문객이 10월과 11월 단풍철에 집중될 정도로 인기가 높다. 특히 주말이면 하루 평균 2만 명이 넘는 인파와 100대 이상의 대형버스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휴양림으로 향하는 약 4km 남짓한 도로는 거대한 주차장으로 변하기 일쑤였다. 평소라면 10분에서 15분이면 충분히 도착할 거리를 1시간, 심지어 2시간 가까이 길 위에서 허비해야 하는 상황이 반복되자, 방문객들의 불만과 원성은 극에 달했다. 아름다운 단풍을 보기도 전에 진입로에서부터 지쳐버리는 최악의 경험이 해마다 되풀이된 것이다.이에 대전시가 마침내 칼을 빼 들었다. 11월 한 달을 특별 교통대책 기간으로 선포하고, 주말과 공휴일에 집중하여 고질적인 교통난 해소를 위한 총력전에 돌입한 것이다. 이번 대책은 단순히 인력을 배치하는 수준을 넘어, 가용한 자원을 총동원하는 입체적인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가장 핵심적인 조치는 대규모 임시주차장 확보다. 대형버스는 휴양림 주차장에서 승객을 하차시킨 뒤, 인근 기성중학교 운동장과 벌곡로 일원에 마련된 별도의 공간으로 이동하여 주차하도록 했다. 이는 휴양림 내부의 주차 및 회차 공간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 일반 승용차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또한, 유관기관과의 협조를 통해 교통안내요원을 곳곳에 배치하고, 실시간 상황을 공유하는 안내상황실을 운영하여 방문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있다.이번 대책에서 특히 주목할 부분은 교통 흐름을 방해하는 '얌체 주차'를 원천 봉쇄하기 위한 강력한 조치들이다. 시는 제2주차장 내에 대형버스 전용 회차 공간을 별도로 조성하는 한편, 상습적인 노면 주차로 몸살을 앓았던 약 1.2km 구간에 중앙선 차단시설을 설치했다. 물리적인 시설물을 통해 불법 주정차 공간 자체를 없애버림으로써, 차량 흐름을 막는 가장 큰 원인을 제거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인 것이다. 이와 함께 휴양림 인근 요양원 등 사회복지시설 주변을 중심으로 불법 주정차 집중 단속을 예고하며, 시민들의 안전까지 고려하는 세심함을 보였다.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 응급상황 대응체계 구축 역시 이번 대책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한다.대전시의 이번 노력은 단기적인 처방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인 해결책으로 나아가는 첫걸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시는 올해의 특별 대책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내년부터는 장태산 자연휴양림의 교통질서 유지를 위한 전문 용역을 본격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매년 반복되는 '땜질식' 처방에서 벗어나, 전문가들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통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 것이다. 이번 11월의 교통 대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고, 나아가 내년의 전문적인 관리 시스템까지 안착된다면, 장태산은 극심한 교통체증이라는 오명을 벗고 누구나 편안하게 가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진정한 힐링 명소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