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사회/복지

2년 전 '중국산' 딱지 떼줬더니…'일본 김치'로 뒤통수 친 독일 국민마트

 독일의 대표적인 유통 기업 알디(ALDI)가 자사 홈페이지에 김치를 '일본 김치'로 소개해 또다시 역사 왜곡 논란의 중심에 섰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7일, 독일 현지 교민의 제보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히며 즉각적인 시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문제가 된 내용은 알디 홈페이지의 김치 레시피 소개 코너로, 'Japanisches Kimchi'(일본 김치)라는 명칭을 버젓이 사용하고 있었다. 알디가 연 매출 45조 원 이상을 기록하며 독일을 넘어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 전역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초대형 유통 그룹이라는 점에서, 이번 사태는 단순한 표기 실수를 넘어 유럽 내 김치 인식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알디의 김치 관련 왜곡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점에서 더욱 공분을 사고 있다. 불과 얼마 전에는 김치 제품을 판매하며 '중국 김치'라고 표기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된 바 있으며,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면 왜곡의 뿌리는 더 깊다. 서 교수에 따르면 약 2년 전, 알디는 자사 김치 제품에 독일어와 이탈리아어로 '중국에서 기원(Original aus China)'했다는 문구를 명시해 판매했다. 당시 서 교수의 강력한 항의 메일을 받고 해당 문구를 삭제하는 조치를 취했지만, 이후에도 '중국 김치', '일본 김치' 표기가 연이어 등장하며 근본적인 문제가 전혀 개선되지 않았음을 스스로 증명한 셈이다. 이는 알디 측이 과거의 잘못에 대해 진정한 반성 없이, 문제를 임시방편으로 덮는 데만 급급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만든다.

 


반복되는 역사 왜곡에 독일 현지 한인 사회도 분노하며 직접 행동에 나섰다. 현재 독일 교민들은 알디 측에 '중국 김치'와 '일본 김chi' 표기를 즉각 삭제하고 올바른 정보로 수정할 것을 요구하는 항의 메일을 지속적으로 보내며 조직적인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방치될 경우, 김치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대다수의 유럽인들에게 김치가 한국의 전통 음식이 아닌 중국이나 일본의 음식으로 오인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서 교수는 "잘못된 정보가 한번 퍼지기 시작하면 바로잡는 데에는 몇 배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반드시 올바른 표기로 바꿔야만 한다"고 이번 사안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결국 서경덕 교수는 이번 사태를 바로잡기 위해 현지 교민들과의 공조를 선언했다. 그는 "독일 한인들과 힘을 합쳐 반드시 시정을 이끌어내겠다"고 밝히며, 과거 '중국 기원' 문구를 삭제시켰던 경험을 바탕으로 또 한 번의 성공적인 바로잡기를 다짐했다. 한국의 대표적인 식문화유산인 김치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이들의 노력이, 유럽의 거대 유통 기업의 안일하고 무책임한 태도를 변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번 사건은 단순히 한 기업의 실수를 지적하는 것을 넘어, 해외 시장에 진출한 한국 문화 콘텐츠의 올바른 표기와 인식을 확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금 일깨워주고 있다.

 

"연말연시, 여기 어때?"…인생샷 명소로 떠오른 창원 '빛의거리' 6곳

조성하여 연말연시의 밤을 화려하게 수놓는다. 시비 6억 5천만 원을 투입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각 지역의 특색을 살린 LED 조명과 미디어아트 등을 설치하여 단순한 야간 조명을 넘어선 예술적인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남동 분수광장, 용호동 가로수길과 용호광장, 창동·오동동 일원, 합성동 ‘한잔하길’, 진해 중원로터리 등 시민들의 발길이 잦은 곳들이 빛의 캔버스로 변신하여, 깊어가는 겨울밤에 따뜻하고 생동감 넘치는 분위기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빛의거리 조성 사업은 단순한 도시 미관 개선을 넘어, 침체된 지역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전략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위축되었던 소비 심리를 회복하고, 연말연시 특수를 지역 경제 활성화로 연결시키려는 창원시의 의지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특히 각 장소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조명 디자인은 방문객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며 재방문을 유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젊음의 거리인 상남동 분수광장에는 역동적이고 화려한 조명을, 낭만적인 분위기의 용호동 가로수길에는 감성적인 빛의 연출을 더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시민들에게는 자부심을, 관광객들에게는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하며 창원의 새로운 야간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하겠다는 포부다.물론 6억 5천만 원이라는 적지 않은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일각에서는 일회성 행사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창원시는 이번 빛의거리 조성을 단발성 이벤트가 아닌, 지속 가능한 야간 관광 콘텐츠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축적된 노하우와 시민들의 반응을 바탕으로 매년 더욱 새롭고 다채로운 빛의 축제를 선보이며, 창원만의 특색 있는 겨울 대표 축제로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빛의거리와 연계한 다양한 문화 행사와 상점 할인 이벤트 등을 함께 추진하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시민과 소상공인 모두가 만족하는 성공적인 축제 모델을 만들어 나갈 방침이다.결국 이번 빛의거리 조성 사업의 성공 여부는 얼마나 많은 시민과 관광객의 발길을 이끌어내고, 실질적인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느냐에 달려있다. 화려한 빛의 향연이 단순한 볼거리를 넘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지갑을 열게 만드는 매력적인 콘텐츠로 기능해야 하는 것이다. 창원시의 야심 찬 도전이 얼어붙은 도심에 온기를 불어넣고, 희망의 빛으로 지역 경제를 환하게 밝히는 성공적인 첫걸음이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 속에서 창원의 밤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아름다운 빛의 도시로 거듭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