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타임

스포츠타임

7년 만에 가을야구 갔더니…원투펀치 동반 이탈, 꿈은 한 시즌 만에 끝?

 한화 이글스의 에이스, 코디 폰세가 사실상 KBO리그와의 작별을 고했다. 지난달 31일,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LG의 우승이 확정되는 순간을 그라운드에서 지켜본 그는 동료들이 모두 떠난 뒤에도 한동안 자리를 뜨지 못했다. 정규시즌 29경기에 등판해 180.2이닝을 소화하며 17승 1패, 평균자책점 1.89, 그리고 KBO 단일 시즌 최다인 252탈삼진을 기록하며 투수 4관왕을 휩쓴 그에게 첫 번째 좌절의 순간이었다. 팬들에게 손을 흔들어 마지막 인사를 건네고, 마운드의 흙을 주머니에 담는 그의 모습은 한화에서의 마지막을 예감하는 듯한 의식처럼 보였다.

 

폰세의 압도적인 성적은 곧바로 메이저리그의 뜨거운 관심으로 이어졌다. 시즌 내내 미국 스카우트들을 몰고 다녔던 그는 KBO리그를 발판 삼아 빅리그로 복귀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미 현지에서는 NC 다이노스 출신 에릭 페디가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맺었던 2년 1500만 달러 계약을 뛰어넘는 조건으로 복귀할 것이라는 구체적인 예상까지 나오고 있다. 뛰어난 탈삼진율과 향상된 구위를 근거로 여러 구단이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폰세 자신도 SNS를 통해 동료들과 팬들에게 작별을 암시하는 글을 남기며 메이저리그 재도전 의사를 분명히 했다. 한화 구단은 재계약 의사를 밝히면서도 현실적인 어려움을 인정하며 일찌감치 이별을 준비해왔다.

 


폰세의 이탈이 기정사실화되는 가운데, 한화의 고민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33승을 합작한 또 다른 축, 2선발 라이언 와이스의 거취마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와이스 역시 30경기에서 16승 5패, 평균자책점 2.87, 207탈삼진이라는 리그 에이스급 성적을 기록하며 메이저리그의 시야에 들어왔다. 만약 와이스까지 팀을 떠난다면, 7년 만의 가을야구 진출을 이끈 원투펀치를 모두 잃는 최악의 시나리오와 마주하게 된다. 이는 다음 시즌 구상 자체를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야 하는 심각한 전력 누수로 이어진다.

 

다만 한화는 와이스의 잔류에는 일말의 희망을 걸고 있다. 메이저리그 구단들이 와이스를 선발이 아닌 불펜 자원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점이 변수다. KBO리그에서 에이스로 활약한 그가 빅리그에서 불확실한 입지와 상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을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손혁 단장은 와이스와 식사를 함께하는 등 공을 들이며, 두 선수 모두 한국 팬들의 열정과 생활에 만족감을 표했다는 점을 긍정적인 신호로 보고 있다. 샐러리캡 내에서 최선의 제안을 준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높아진 팬들의 눈높이를 맞추기 위한 한화의 가장 큰 숙제는 결국 강력한 원투펀치의 재건에 달려있다.

 

"연말연시, 여기 어때?"…인생샷 명소로 떠오른 창원 '빛의거리' 6곳

조성하여 연말연시의 밤을 화려하게 수놓는다. 시비 6억 5천만 원을 투입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각 지역의 특색을 살린 LED 조명과 미디어아트 등을 설치하여 단순한 야간 조명을 넘어선 예술적인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남동 분수광장, 용호동 가로수길과 용호광장, 창동·오동동 일원, 합성동 ‘한잔하길’, 진해 중원로터리 등 시민들의 발길이 잦은 곳들이 빛의 캔버스로 변신하여, 깊어가는 겨울밤에 따뜻하고 생동감 넘치는 분위기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빛의거리 조성 사업은 단순한 도시 미관 개선을 넘어, 침체된 지역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전략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위축되었던 소비 심리를 회복하고, 연말연시 특수를 지역 경제 활성화로 연결시키려는 창원시의 의지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특히 각 장소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조명 디자인은 방문객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며 재방문을 유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젊음의 거리인 상남동 분수광장에는 역동적이고 화려한 조명을, 낭만적인 분위기의 용호동 가로수길에는 감성적인 빛의 연출을 더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시민들에게는 자부심을, 관광객들에게는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하며 창원의 새로운 야간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하겠다는 포부다.물론 6억 5천만 원이라는 적지 않은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일각에서는 일회성 행사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창원시는 이번 빛의거리 조성을 단발성 이벤트가 아닌, 지속 가능한 야간 관광 콘텐츠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축적된 노하우와 시민들의 반응을 바탕으로 매년 더욱 새롭고 다채로운 빛의 축제를 선보이며, 창원만의 특색 있는 겨울 대표 축제로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빛의거리와 연계한 다양한 문화 행사와 상점 할인 이벤트 등을 함께 추진하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시민과 소상공인 모두가 만족하는 성공적인 축제 모델을 만들어 나갈 방침이다.결국 이번 빛의거리 조성 사업의 성공 여부는 얼마나 많은 시민과 관광객의 발길을 이끌어내고, 실질적인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느냐에 달려있다. 화려한 빛의 향연이 단순한 볼거리를 넘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지갑을 열게 만드는 매력적인 콘텐츠로 기능해야 하는 것이다. 창원시의 야심 찬 도전이 얼어붙은 도심에 온기를 불어넣고, 희망의 빛으로 지역 경제를 환하게 밝히는 성공적인 첫걸음이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 속에서 창원의 밤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아름다운 빛의 도시로 거듭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