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연예

키스하고 사귀자마자 '싸늘'…최우식 손길 뿌리친 정소민, 대체 무슨 일?

 최고급 신혼집을 사수하기 위한 위장 신혼이라는 파격적인 설정과 주연 배우 최우식, 정소민의 설렘 가득한 로맨스 케미로 연일 화제를 모으고 있는 SBS 금토드라마 '우주메리미'. 지난 8화에서 김우주(최우식 분)와 유메리(정소민 분)가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며 진짜 연애를 시작, 시청자들의 마음을 핑크빛으로 물들였다. 하지만 달콤함도 잠시, 두 사람의 관계가 위장 신혼이라는 비밀을 알아챈 메리의 전 약혼자 김우주(서범준 분)가 등장하며 애정전선에 짙은 먹구름을 예고한 가운데, 이전과 180도 달라진 두 사람의 모습이 포착돼 불안감을 증폭시킨다.

 

6일 공개된 스틸컷은 이제 막 사랑을 시작한 연인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서먹하고 위태로운 분위기를 담고 있어 눈길을 끈다. 공원에서 첫 피크닉 데이트를 즐기는 듯한 두 사람. 도시락부터 간식까지 살뜰히 챙겨온 우주는 평소처럼 다정한 눈빛으로 메리를 바라보며 자신의 손을 메리의 손 위에 살포시 포개는 등 '멍뭉미' 넘치는 애정 공세를 펼친다. 서로의 마음을 확인한 후 늘 행복한 미소로 화답하던 메리였지만, 이날따라 그녀의 표정은 어둡기만 하다. 우주의 애정 표현이 부담스러운 듯 애써 시선을 피하던 그녀의 모습은 곧이어 벌어질 갈등의 서막을 알린다.

 


결국 우려했던 상황이 벌어진다. 메리는 우주의 손길을 조용히 거두어 버리며 두 사람 사이에 보이지 않는 벽을 세운다. 갑작스러운 메리의 냉담한 반응에 우주는 당황한 기색이 역력하다. 이전의 달달했던 분위기는 온데간데없이 차가운 기류만 흐르는 두 사람의 모습은 이들의 로맨스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음을 암시한다. 급기야 공원에 홀로 남아 쓸쓸하게 앉아 있는 우주의 모습까지 포착되면서, 행복해야 할 첫 피크닉 데이트에서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인지, 이제 막 서로의 마음을 확인한 두 사람이 어째서 이토록 멀어져야만 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최고조에 달한다.

 

이처럼 '우주메리미'는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자마자 위기를 맞은 우주와 메리의 모습을 통해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쫄깃한 전개를 예고하고 있다. 전 약혼자의 등장이 메리의 마음을 흔든 것인지, 혹은 또 다른 예측 불가능한 변수가 두 사람의 관계를 가로막은 것인지 시청자들의 추측이 난무하는 상황. 과연 우주와 메리는 이 위기를 극복하고 어렵게 시작한 사랑을 지켜낼 수 있을지, 그 결과는 오는 7일 밤 9시 50분에 방송되는 '우주메리미' 9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단풍 구경 오지 마세요?'…결국 대전시가 칼 빼 든 '이곳'의 교통 대란

74만 명이 다녀갔고, 이 중 27%에 달하는 방문객이 10월과 11월 단풍철에 집중될 정도로 인기가 높다. 특히 주말이면 하루 평균 2만 명이 넘는 인파와 100대 이상의 대형버스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휴양림으로 향하는 약 4km 남짓한 도로는 거대한 주차장으로 변하기 일쑤였다. 평소라면 10분에서 15분이면 충분히 도착할 거리를 1시간, 심지어 2시간 가까이 길 위에서 허비해야 하는 상황이 반복되자, 방문객들의 불만과 원성은 극에 달했다. 아름다운 단풍을 보기도 전에 진입로에서부터 지쳐버리는 최악의 경험이 해마다 되풀이된 것이다.이에 대전시가 마침내 칼을 빼 들었다. 11월 한 달을 특별 교통대책 기간으로 선포하고, 주말과 공휴일에 집중하여 고질적인 교통난 해소를 위한 총력전에 돌입한 것이다. 이번 대책은 단순히 인력을 배치하는 수준을 넘어, 가용한 자원을 총동원하는 입체적인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가장 핵심적인 조치는 대규모 임시주차장 확보다. 대형버스는 휴양림 주차장에서 승객을 하차시킨 뒤, 인근 기성중학교 운동장과 벌곡로 일원에 마련된 별도의 공간으로 이동하여 주차하도록 했다. 이는 휴양림 내부의 주차 및 회차 공간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 일반 승용차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또한, 유관기관과의 협조를 통해 교통안내요원을 곳곳에 배치하고, 실시간 상황을 공유하는 안내상황실을 운영하여 방문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있다.이번 대책에서 특히 주목할 부분은 교통 흐름을 방해하는 '얌체 주차'를 원천 봉쇄하기 위한 강력한 조치들이다. 시는 제2주차장 내에 대형버스 전용 회차 공간을 별도로 조성하는 한편, 상습적인 노면 주차로 몸살을 앓았던 약 1.2km 구간에 중앙선 차단시설을 설치했다. 물리적인 시설물을 통해 불법 주정차 공간 자체를 없애버림으로써, 차량 흐름을 막는 가장 큰 원인을 제거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인 것이다. 이와 함께 휴양림 인근 요양원 등 사회복지시설 주변을 중심으로 불법 주정차 집중 단속을 예고하며, 시민들의 안전까지 고려하는 세심함을 보였다.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 응급상황 대응체계 구축 역시 이번 대책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한다.대전시의 이번 노력은 단기적인 처방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인 해결책으로 나아가는 첫걸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시는 올해의 특별 대책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내년부터는 장태산 자연휴양림의 교통질서 유지를 위한 전문 용역을 본격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매년 반복되는 '땜질식' 처방에서 벗어나, 전문가들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통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 것이다. 이번 11월의 교통 대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고, 나아가 내년의 전문적인 관리 시스템까지 안착된다면, 장태산은 극심한 교통체증이라는 오명을 벗고 누구나 편안하게 가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진정한 힐링 명소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