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연예

"내 새끼 위해 서명했다"…'셀프 축가' 신부 송수연, 결국 파경 맞은 이유

 '진짜 팥' 영상 하나로 온라인을 뜨겁게 달구고, 비 오는 날의 로맨틱한 셀프 축가로 수많은 이들의 부러움을 샀던 인플루언서 송수연이 갑작스러운 이혼 소식을 전했다. 그녀는 5일 자신의 SNS를 통해 "어제부로 갑자기 진짜 이혼을 했다"고 밝히며, 동화 같던 이야기의 끝이 파경이었음을 직접 알렸다. 송수연은 "허무하고 속상한 마음에 어제는 많이 울었다"며 참담한 심경을 토로했다. 그녀가 지난 6월, 홀로서기를 암시하는 글을 올렸던 날이 바로 법원에 이혼 소송을 제기했던 날이었음도 뒤늦게 알려졌다. 두 개의 소송 중 하나는 이미 판결을 받았고, 나머지 하나는 갑작스럽게 잡힌 조정기일을 통해 어제 법원에서 모든 절차를 마무리하게 되었다.

 

법원으로 향하는 그녀의 발걸음은 무거웠다. "조정하지 않아도 되니 마음 편하게 오라"는 말을 듣고 법원을 찾았지만, 현장에서 마주한 현실은 차가웠다. 그녀는 "결국 모든 걸 내려놓고 서명하고 나왔다"며, "이건 내 인생에서 정말 중요한 일이었는데 나 빼고 모두 일처리하듯 느껴져 속상했다"고 털어놓았다. 결혼 생활의 마침표를 찍는 중차대한 순간이 너무나도 사무적으로 흘러가는 상황에 깊은 허무함과 상처를 받은 것이다. 특히 그녀는 관계 파탄의 책임이 있는 상대방으로부터 진심 어린 사과 한마디 듣지 못한 채 법의 판단을 바랐지만, 그마저도 허무하게 끝나버린 상황에 대한 속상함을 감추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가 모든 것을 내려놓고 서명을 감행한 이유는 단 하나, 바로 아이 때문이었다. 송수연은 "결혼도 이혼도 실패했지만 아이를 위해, 그리고 나 자신을 위해 여기서 끝내는 게 맞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혼 소송을 길게 끄는 것이 아이의 정서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한 엄마의 마음이었다. 그녀는 "눈에 넣어도 안 아플 내 새끼를 위해 다시 시작하겠다"고 굳게 다짐하며, "엄마 아빠의 관계는 끝났지만, 아이는 그 자체로 소중하며 사랑받을 자격이 있다. 네 잘못이 아니라는 걸 알려주고 싶고, 끝까지 사랑으로 지킬 것"이라며 아들을 향한 변치 않는 애틋한 모정을 드러내 보는 이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

 

965만 회 이상 조회된 "이거 진짜 팥 같아" 영상으로 '진짜팥'이라는 사랑스러운 애칭을 얻고, 793만 뷰를 기록한 감동적인 결혼식 축가 영상으로 랜선 이모, 삼촌들의 열렬한 응원을 받았던 이들 부부. 그토록 달콤하고 로맨틱했던 순간들은 이제 추억으로만 남게 됐다. 송수연은 "많이 힘들고, 많이 잃었다"고 고백하면서도 "오늘 다시 털고 시작하려 한다"며 꿋꿋한 의지를 보였다. 한때 가장 행복한 커플로 기억됐던 그녀의 갑작스러운 이혼 소식은 많은 이들에게 충격과 안타까움을 동시에 안겨주고 있다.

 

모차르트 고향이 왜 '소금 도시'?…잘츠부르크에 숨겨진 비밀

. 과거 바다였던 곳이 지각 변동으로 융기하며 형성된 고산지대의 소금 지형이 대표적이다. 미국 유타주의 솔트레이크시티는 그레이트솔트 호수와 로키산맥 사이에 광활한 소금 평원을 자랑하며, 남미 볼리비아의 우유니 소금사막은 비가 내리면 하늘을 비추는 거대한 거울로 변해 수많은 이들의 여행 버킷리스트에 이름을 올린다. 고구려 동명성왕이 소금을 채취했다고 전해지는 티베트의 소금산 역시 인도 대륙이 유라시아 대륙과 충돌하며 바다가 솟아올라 만들어진 경이로운 자연의 산물이다.유럽 대륙에서는 땅속 깊은 곳에 숨겨진 암염이 도시의 운명을 바꾸었다. '소금'을 의미하는 'Sal'과 'Hal'이라는 어원을 이름에 품은 도시들이 그 증거다. 모차르트의 고향으로 유명한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는 '소금의 성'이라는 뜻처럼 거대한 소금 광산을 기반으로 번영을 누렸다. 같은 나라의 할슈타트는 유럽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 중 하나로 손꼽히지만, 그 본질은 수천 년 역사의 소금 광산 도시다. 1만 2천 년 전 인류의 거주 흔적이 남아있는 이 고대 도시에서는 배를 타고 땅속 호수를 건너고 리프트와 열차를 타며 광산을 탐험하는 독특한 관광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여행객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폴란드의 비엘리츠카 소금광산이나 독일의 소금 동굴 치료 시설 역시 소금이 만들어낸 이색적인 관광 자원이다.바닷물을 이용해 소금을 생산하던 염전 지대 또한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새로운 관광지로 거듭났다. 세계 최고 품질의 천일염을 생산하는 프랑스 게랑드 염전 인근에는 유서 깊은 항구도시 낭트가 자리 잡아 시너지를 내고 있다. 육지에 갇힌 바닷물이 오랜 세월 증발하며 형성된 이스라엘과 요르단 국경의 사해는 일반 바다보다 훨씬 높은 염도 덕분에 물에 몸을 맡기면 저절로 떠오르는 신비한 부력 체험으로 명성이 높다. 고대 잉카제국의 지혜가 깃든 페루 살리나스의 계단식 소금밭 역시 험준한 산악 지형과 어우러져 독특하고 장엄한 풍경을 연출하며 여행객들의 발길을 붙잡는다.소금의 흔적은 비단 먼 나라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땅 곳곳에도 소금과 관련된 지명이 남아 그 역사를 증명하고 있다. 서울의 염창동(鹽倉洞)과 염리동(鹽里洞)은 과거 소금 창고와 소금 상인들이 모여 살던 마을이었음을 이름으로 말해주고 있으며, 강원도 정선의 염장봉(鹽藏峰) 역시 소금을 보관하던 곳이라는 유래를 품고 있다. 이처럼 소금은 인류의 생존을 책임졌던 필수 자원을 넘어, 오랜 시간과 자연, 그리고 인간의 역사가 빚어낸 독특한 문화 경관을 형성하며 오늘날까지 그 중요성과 가치를 다채로운 방식으로 증명해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