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연예

키스하고 사귀자마자 '싸늘'…최우식 손길 뿌리친 정소민, 대체 무슨 일?

 최고급 신혼집을 사수하기 위한 위장 신혼이라는 파격적인 설정과 주연 배우 최우식, 정소민의 설렘 가득한 로맨스 케미로 연일 화제를 모으고 있는 SBS 금토드라마 '우주메리미'. 지난 8화에서 김우주(최우식 분)와 유메리(정소민 분)가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며 진짜 연애를 시작, 시청자들의 마음을 핑크빛으로 물들였다. 하지만 달콤함도 잠시, 두 사람의 관계가 위장 신혼이라는 비밀을 알아챈 메리의 전 약혼자 김우주(서범준 분)가 등장하며 애정전선에 짙은 먹구름을 예고한 가운데, 이전과 180도 달라진 두 사람의 모습이 포착돼 불안감을 증폭시킨다.

 

6일 공개된 스틸컷은 이제 막 사랑을 시작한 연인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서먹하고 위태로운 분위기를 담고 있어 눈길을 끈다. 공원에서 첫 피크닉 데이트를 즐기는 듯한 두 사람. 도시락부터 간식까지 살뜰히 챙겨온 우주는 평소처럼 다정한 눈빛으로 메리를 바라보며 자신의 손을 메리의 손 위에 살포시 포개는 등 '멍뭉미' 넘치는 애정 공세를 펼친다. 서로의 마음을 확인한 후 늘 행복한 미소로 화답하던 메리였지만, 이날따라 그녀의 표정은 어둡기만 하다. 우주의 애정 표현이 부담스러운 듯 애써 시선을 피하던 그녀의 모습은 곧이어 벌어질 갈등의 서막을 알린다.

 


결국 우려했던 상황이 벌어진다. 메리는 우주의 손길을 조용히 거두어 버리며 두 사람 사이에 보이지 않는 벽을 세운다. 갑작스러운 메리의 냉담한 반응에 우주는 당황한 기색이 역력하다. 이전의 달달했던 분위기는 온데간데없이 차가운 기류만 흐르는 두 사람의 모습은 이들의 로맨스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음을 암시한다. 급기야 공원에 홀로 남아 쓸쓸하게 앉아 있는 우주의 모습까지 포착되면서, 행복해야 할 첫 피크닉 데이트에서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인지, 이제 막 서로의 마음을 확인한 두 사람이 어째서 이토록 멀어져야만 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최고조에 달한다.

 

이처럼 '우주메리미'는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자마자 위기를 맞은 우주와 메리의 모습을 통해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쫄깃한 전개를 예고하고 있다. 전 약혼자의 등장이 메리의 마음을 흔든 것인지, 혹은 또 다른 예측 불가능한 변수가 두 사람의 관계를 가로막은 것인지 시청자들의 추측이 난무하는 상황. 과연 우주와 메리는 이 위기를 극복하고 어렵게 시작한 사랑을 지켜낼 수 있을지, 그 결과는 오는 7일 밤 9시 50분에 방송되는 '우주메리미' 9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모차르트 고향이 왜 '소금 도시'?…잘츠부르크에 숨겨진 비밀

. 과거 바다였던 곳이 지각 변동으로 융기하며 형성된 고산지대의 소금 지형이 대표적이다. 미국 유타주의 솔트레이크시티는 그레이트솔트 호수와 로키산맥 사이에 광활한 소금 평원을 자랑하며, 남미 볼리비아의 우유니 소금사막은 비가 내리면 하늘을 비추는 거대한 거울로 변해 수많은 이들의 여행 버킷리스트에 이름을 올린다. 고구려 동명성왕이 소금을 채취했다고 전해지는 티베트의 소금산 역시 인도 대륙이 유라시아 대륙과 충돌하며 바다가 솟아올라 만들어진 경이로운 자연의 산물이다.유럽 대륙에서는 땅속 깊은 곳에 숨겨진 암염이 도시의 운명을 바꾸었다. '소금'을 의미하는 'Sal'과 'Hal'이라는 어원을 이름에 품은 도시들이 그 증거다. 모차르트의 고향으로 유명한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는 '소금의 성'이라는 뜻처럼 거대한 소금 광산을 기반으로 번영을 누렸다. 같은 나라의 할슈타트는 유럽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 중 하나로 손꼽히지만, 그 본질은 수천 년 역사의 소금 광산 도시다. 1만 2천 년 전 인류의 거주 흔적이 남아있는 이 고대 도시에서는 배를 타고 땅속 호수를 건너고 리프트와 열차를 타며 광산을 탐험하는 독특한 관광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여행객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폴란드의 비엘리츠카 소금광산이나 독일의 소금 동굴 치료 시설 역시 소금이 만들어낸 이색적인 관광 자원이다.바닷물을 이용해 소금을 생산하던 염전 지대 또한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새로운 관광지로 거듭났다. 세계 최고 품질의 천일염을 생산하는 프랑스 게랑드 염전 인근에는 유서 깊은 항구도시 낭트가 자리 잡아 시너지를 내고 있다. 육지에 갇힌 바닷물이 오랜 세월 증발하며 형성된 이스라엘과 요르단 국경의 사해는 일반 바다보다 훨씬 높은 염도 덕분에 물에 몸을 맡기면 저절로 떠오르는 신비한 부력 체험으로 명성이 높다. 고대 잉카제국의 지혜가 깃든 페루 살리나스의 계단식 소금밭 역시 험준한 산악 지형과 어우러져 독특하고 장엄한 풍경을 연출하며 여행객들의 발길을 붙잡는다.소금의 흔적은 비단 먼 나라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땅 곳곳에도 소금과 관련된 지명이 남아 그 역사를 증명하고 있다. 서울의 염창동(鹽倉洞)과 염리동(鹽里洞)은 과거 소금 창고와 소금 상인들이 모여 살던 마을이었음을 이름으로 말해주고 있으며, 강원도 정선의 염장봉(鹽藏峰) 역시 소금을 보관하던 곳이라는 유래를 품고 있다. 이처럼 소금은 인류의 생존을 책임졌던 필수 자원을 넘어, 오랜 시간과 자연, 그리고 인간의 역사가 빚어낸 독특한 문화 경관을 형성하며 오늘날까지 그 중요성과 가치를 다채로운 방식으로 증명해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