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마그네슘' 먹였더니 뇌 기능이 회복…발달장애 정복되나

 국내 연구진이 특정 유전자 결손이 발달장애를 일으키는 핵심적인 발병 원리를 세계 최초로 규명하고, 나아가 치료의 가능성까지 제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의 정용근 명예교수와 박경린 박사과정생 연구팀은 종양억제후보유전자로 알려진 'TUSC3'의 결손이 어떻게 지적장애로 이어지는지를 분자 수준에서 밝혀낸 연구 결과를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는 그동안 원인 불명으로 여겨졌던 일부 발달장애의 베일을 벗기고,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의 청신호를 켠 중대한 성과로 평가된다.

 

연구팀은 TUSC3 유전자의 기능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전부터 지적장애 환자들에게서 해당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반복적으로 보고되었지만, 아무도 그 이유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이 미스터리를 풀기 위해 TUSC3 유전자가 결손된 동물 모델을 제작하여 그 영향을 면밀히 관찰했다. 그 결과, TUSC3 유전자의 부재가 신경세포 내 소기관인 소포체(ER)의 마그네슘 농도를 급격히 떨어뜨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세포의 '단백질 생산 및 관리 공장'인 소포체에 마그네슘이 부족해지자, 공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상태가 유발되었고, 이는 최종적으로 뇌 기능의 핵심인 시냅스 단백질의 감소로 이어져 인지 기능을 저하 시켰던 것이다.

 


더 나아가 연구팀은 이 문제에 대한 놀라운 해결의 실마리를 제시했다. 원인이 '소포체 내 마그네슘 결핍'이라면, 마그네슘을 보충해주면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운 것이다. 연구팀은 TUSC3 유전자가 결손된 동물 모델에게 마그네슘을 직접 보충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마그네슘 보충을 통해 소포체 내 마그네슘 농도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자, 극심했던 소포체 스트레스가 눈에 띄게 완화되었다. 이에 따라 감소했던 시냅스 기능까지 정상화되었으며, 최종적으로는 손상되었던 인지 능력이 현저히 회복되는 것을 입증했다. 단순한 영양소 보충이 유전자 결손으로 인한 심각한 문제를 되돌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극적인 순간이었다.

 

이번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소포체 마그네슘 결핍 → 소포체 스트레스 → 시냅스 기능 저하'로 이어지는 새로운 발달장애 발병의 핵심 축을 명확하게 제시했다는 점에 있다. 이는 단순히 하나의 현상을 관찰한 것을 넘어, 복잡한 생명 현상의 인과관계를 명쾌하게 풀어낸 것이다. 특히, 마그네슘이라는 비교적 안전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물질을 통해 치료 가능성을 동물 모델에서 확인했다는 점은 향후 발달장애 치료제 개발 연구에 매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전자 결함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직접 해결하기는 어렵더라도, 그로 인해 발생하는 연쇄적인 문제를 중간에서 차단하는 새로운 방식의 치료 전략에 대한 희망을 열어주었다.

 

나무 단 두 그루에 40억?…사람들 지갑 열게 만든 '마성의 정원'

년 처음 문을 연 이후, 10년 만인 2019년에 100만 명을 돌파한 데 이어, 불과 5년도 채 되지 않아 다시 100만 명의 발길을 이끌며 가속도가 붙은 인기를 증명했다. 특히 지난해 연간 11만 명이 찾았던 정원은 올해는 이미 15만 명을 훌쩍 넘어서는 등 방문객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여서,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더하고 있다.이 정원의 인기 비결은 단연 압도적인 가치를 자랑하는 명품 분재들이다. 그중에서도 한 그루당 20억 원을 호가하는 주목 분재 두 그루는 분재정원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로, 살아있는 예술 작품이 주는 경이로움을 선사한다. 이 외에도 수백 년의 세월을 견딘 소사나무, 모과나무, 해송 등 500여 점에 달하는 각양각색의 분재들이 저마다의 기품과 자태를 뽐내며 방문객들의 탄성을 자아낸다. 오랜 시간과 자연, 그리고 장인의 손길이 빚어낸 이 분재들은 단순한 식물을 넘어, 그 자체로 하나의 거대한 박물관을 이루고 있다.분재정원의 매력은 값비싼 분재에만 그치지 않는다. 겨울철이 되면 4천만 송이에 달하는 애기동백꽃이 붉게 만개하여 설경과 어우러지는 장관을 연출, 사시사철 다른 매력을 선사하며 방문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게 만든다. 이처럼 계절마다 특색 있는 볼거리를 제공하는 전략은 방문객들의 재방문율을 높이는 동시에, 분재에 큰 관심이 없던 이들까지 끌어들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겨울 추위 속에서 붉은 꽃망울을 터뜨리는 애기동백의 군락은 분재와는 또 다른 감동을 안겨주며 정원의 가치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있다.이러한 성공의 배경에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땀 흘리는 전문가들의 노력이 숨어있다. 김현경 동부정원관리사업소 분재정원팀장이 밝혔듯, 전문 분재관리사들이 500여 점의 명품 분재 하나하나를 자식처럼 돌보며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계절별 테마 정원을 가꾸는 데에도 정성을 쏟고 있다. 지자체의 꾸준한 투자와 특색 있는 콘텐츠 개발, 그리고 전문가들의 헌신적인 관리가 삼위일체를 이루어 신안 분재정원을 단순한 공원을 넘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생태 문화 관광의 성공 모델로 만들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