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만점자 도시락엔 '이것' 없었다"…의사들이 경고한 수능 날 최악의 메뉴 5가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시험 당일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한 수험생들의 막바지 전략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점심 도시락 메뉴는 단순히 배를 채우는 한 끼 식사를 넘어, 오후에 이어지는 시험의 집중력과 컨디션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변수로 여겨진다.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시험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는 영양 보충을 위한 특별한 메뉴보다, 심리적 안정감을 주고 소화에 부담이 없는 평소에 먹던 익숙한 음식이 최고의 선택이라고 강조한다. 과도한 긴장과 스트레스로 인해 위장 기능이 저하되기 쉬운 만큼, 소화 과정에서 신체에 부담을 주지 않는 것이 핵심 전략인 셈이다.

 

성공적인 수능을 치른 선배들의 경험담 역시 이러한 원칙을 뒷받침한다. 2025학년도 수능에서 만점을 받은 이승현 군과 김소윤 양은 사교육업체를 통해 공개된 영상에서 공통적으로 '속이 편안한 음식'을 자신들의 비결로 꼽았다. 이 군은 중요한 시험 때마다 부드럽고 소화가 잘되는 순두부찌개를 먹었다고 밝혔으며, 김 양은 긴장하면 밥이 잘 넘어가지 않아 가볍게 먹을 수 있는 유부초밥과 당 보충을 위한 샤인머스캣, 초콜릿을 준비했다고 전했다. 이처럼 소화가 용이한 한식이나 익숙한 간단식 위주의 구성은 신체적 부담을 줄일 뿐만 아니라, 평소와 같은 식사를 한다는 '루틴 효과'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데도 큰 도움이 된다.

 


반대로 전문가들은 수능 당일만큼은 반드시 피해야 할 음식 목록도 명확히 제시한다. 한의학 전문가들은 잡곡밥, 김밥, 어패류, 과도한 채소, 그리고 카페인 음료를 '수능 금지 음식'으로 지목했다. 잡곡밥은 건강식이라는 인식과 달리 소화가 더뎌 위에 부담을 줄 수 있고, 여러 재료가 뭉쳐 있는 김밥은 급하게 먹다 체할 위험이 크다. 또한, 신선도가 중요한 굴이나 조개 같은 어패류는 자칫 탈을 유발할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상책이다. 풍부한 식이섬유 역시 평소에는 장 건강에 도움이 되지만, 시험 당일에는 오히려 가스를 유발하거나 복통의 원인이 될 수 있어 과도한 섭취는 금물이다.

 

이 밖에도 자극적인 맛을 내는 음식들은 집중력을 저해하는 주범으로 꼽힌다. 맵고 짠 음식은 위 점막을 자극해 속 쓰림을 유발하거나 심한 갈증을 일으켜 집중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특히 과도한 염분 섭취는 수분 섭취량을 늘려 시험 중 화장실에 가고 싶게 만드는 최악의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잠을 깨기 위해 마시는 고카페인 에너지드링크는 심박수를 비정상적으로 높여 불필요한 긴장감을 유발하고 이뇨 작용을 촉진하므로 피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자극적인 음식 대신, 속을 편안하게 하고 기운을 북돋는 따뜻한 숭늉 한 잔이 오히려 훌륭한 선택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

 

나무 단 두 그루에 40억?…사람들 지갑 열게 만든 '마성의 정원'

년 처음 문을 연 이후, 10년 만인 2019년에 100만 명을 돌파한 데 이어, 불과 5년도 채 되지 않아 다시 100만 명의 발길을 이끌며 가속도가 붙은 인기를 증명했다. 특히 지난해 연간 11만 명이 찾았던 정원은 올해는 이미 15만 명을 훌쩍 넘어서는 등 방문객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여서,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더하고 있다.이 정원의 인기 비결은 단연 압도적인 가치를 자랑하는 명품 분재들이다. 그중에서도 한 그루당 20억 원을 호가하는 주목 분재 두 그루는 분재정원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로, 살아있는 예술 작품이 주는 경이로움을 선사한다. 이 외에도 수백 년의 세월을 견딘 소사나무, 모과나무, 해송 등 500여 점에 달하는 각양각색의 분재들이 저마다의 기품과 자태를 뽐내며 방문객들의 탄성을 자아낸다. 오랜 시간과 자연, 그리고 장인의 손길이 빚어낸 이 분재들은 단순한 식물을 넘어, 그 자체로 하나의 거대한 박물관을 이루고 있다.분재정원의 매력은 값비싼 분재에만 그치지 않는다. 겨울철이 되면 4천만 송이에 달하는 애기동백꽃이 붉게 만개하여 설경과 어우러지는 장관을 연출, 사시사철 다른 매력을 선사하며 방문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게 만든다. 이처럼 계절마다 특색 있는 볼거리를 제공하는 전략은 방문객들의 재방문율을 높이는 동시에, 분재에 큰 관심이 없던 이들까지 끌어들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겨울 추위 속에서 붉은 꽃망울을 터뜨리는 애기동백의 군락은 분재와는 또 다른 감동을 안겨주며 정원의 가치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있다.이러한 성공의 배경에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땀 흘리는 전문가들의 노력이 숨어있다. 김현경 동부정원관리사업소 분재정원팀장이 밝혔듯, 전문 분재관리사들이 500여 점의 명품 분재 하나하나를 자식처럼 돌보며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계절별 테마 정원을 가꾸는 데에도 정성을 쏟고 있다. 지자체의 꾸준한 투자와 특색 있는 콘텐츠 개발, 그리고 전문가들의 헌신적인 관리가 삼위일체를 이루어 신안 분재정원을 단순한 공원을 넘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생태 문화 관광의 성공 모델로 만들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