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타임

스포츠타임

아내 대신 반려견에 '입맞춤'…MVP 오타니, 때아닌 '결혼 쇼윈도' 논란

 메이저리그의 살아있는 전설, 오타니 쇼헤이(LA 다저스)가 통산 네 번째 최우수선수(MVP) 트로피를 들어 올리며 또 하나의 역사를 썼다. 하지만 영광의 순간, 그의 사소한 행동 하나가 예상치 못한 논란을 낳으며 전 세계 야구팬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다. 미국야구기자협회(BBWAA)는 오타니가 1위 표 30장을 모두 휩쓰는 만장일치로 내셔널리그 MVP에 선정되었다고 공식 발표했다. 2021년과 2023년 LA 에인절스 소속으로 아메리칸리그를 제패했던 그는, 다저스로 이적한 후에도 두 시즌 연속 월드시리즈 우승과 함께 MVP를 석권하며 자신의 시대를 활짝 열었다. 올 시즌 타석에서는 타율 0.282, 55홈런, 102타점이라는 괴물 같은 성적을, 토미 존 수술에서 복귀한 마운드에서는 1승 1패 평균자책점 2.87을 기록하며 '이도류'의 건재함을 과시했다.

 

문제의 장면은 MVP 수상자가 발표되는 순간에 연출됐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아내 다나카 마미코, 반려견 디코이와 함께 기쁨을 기다리던 오타니는 자신의 이름이 호명되자 감격한 표정을 지었다. 그 순간, 오타니와 아내 마미코는 동시에 반려견 디코이를 향해 몸을 숙였는데, 오타니가 아내가 아닌 디코이의 얼굴에 입을 맞추는 모습이 그대로 생중계 화면에 포착된 것이다. 마치 반려견이 아내의 축하 키스를 가로챈 듯한 이 '묘한' 장면에 온라인 여론은 즉각 들끓었다. 일부 누리꾼들은 "역시 그의 결혼은 이미지를 위한 쇼맨십이었나", "아내에 대한 존중이 보이지 않는다"와 같은 날 선 반응을 보이며 그의 행동을 비판했다.

 


반면, 오타니의 행동이 전혀 문제 될 것 없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았다. 특히 일본 문화를 잘 아는 팬들은 "일본인들은 전통적으로 공적인 자리나 카메라 앞에서 애정 표현을 하는 것에 매우 인색하다", "지극히 사적인 부부간의 일을 공개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과도한 참견"이라며 오타니를 옹호하고 나섰다. 이러한 논란은 아메리칸리그 MVP 수상자인 애런 저지(뉴욕 양키스)의 모습과 비교되며 더욱 증폭됐다. 저지 역시 아내, 반려견과 함께 수상 발표를 지켜봤는데, 그는 MVP로 선정되자마자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옆에 있던 아내와 뜨겁게 키스를 나누며 기쁨을 만끽했다. 오타니와는 극명하게 대조되는 이 모습은 팬들 사이에서 또 다른 화젯거리를 만들어냈다.

 

결과적으로 2024년과 2025년, 2년 연속으로 양대 리그 MVP를 오타니와 저지가 나란히 차지하는 진기록이 세워졌다. 메이저리그 공식 홈페이지 MLB.com이 "우리는 오타니와 저지의 시대에 살고 있다"고 평했을 정도로 두 선수의 위상은 절대적이다. 하지만 통산 네 번째 만장일치 MVP라는 대기록을 달성한 오타니에게 쏟아진 스포트라이트는 그의 위대한 업적뿐만 아니라, 아내와 반려견 사이에서 벌어진 지극히 개인적인 순간에 대한 갑론을박으로 번졌다. 이는 슈퍼스타의 일거수일투족이 얼마나 큰 관심과 때로는 불필요한 논쟁의 대상이 되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해프닝으로 남게 됐다.

 

"도쿄, 오사카는 이제 그만"…일본이 한국인에게만 콕 집어 추천한 '진짜 여행지'

코이치 주한 일본대사는 국교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에서 관광이야말로 양국의 신뢰를 다지는 가장 강력한 연결고리라고 강조하며, 이제는 도쿄나 오사카 같은 대도시를 넘어 지방 소도시 간의 교류가 새로운 한일 관계의 핵심 축이 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1965년 연간 1만 명에 불과했던 인적 교류가 지난해 1200만 명을 돌파하는 등 폭발적으로 증가한 현 상황에서, 양적 팽창을 넘어 질적 성장을 도모해야 할 시점이라는 문제의식이 깔려있다. 관광을 시작으로 경제, 문화, 청년 세대 교류 전반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양국 관계의 기반을 더욱 단단하게 다지겠다는 전략이다.실제로 한국인의 일본 사랑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나지만, 그 이면에는 심각한 '쏠림 현상'이라는 과제가 존재한다. 지난해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4명 중 1명은 한국인이었으며, 이는 숫자로 881만 명에 달하는 압도적인 1위 기록이다. 한국인 해외 출국자 3명 중 1명이 일본을 택한 셈이다. 하지만 이들의 발길은 특정 지역에 과도하게 집중되었다. 간사이, 후쿠오카, 나리타 등 단 3개 공항을 통해 입국한 비율이 전체의 80%에 육박했으며, 숙박 역시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3대 도시에 60% 이상이 몰렸다. 이는 대부분의 한국인 관광객이 비슷한 동선의 단기 체류형 여행에 머무르고 있음을 의미한다. 일본정부관광국(JNTO)은 이러한 편중 현상을 해소하고 지속가능한 관광 성장을 위해 지방 공항의 접근성을 개선하고, 숨겨진 소도시의 매력을 알리는 것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일본은 '알려지지 않은 일본의 소도시'라는 캠페인을 내걸고 구체적인 행동에 나섰다. 최근 서울에서 열린 홍보 리셉션에는 이와테, 나가노, 돗토리현 등 무려 12개 현의 지사단이 직접 참석해 한국 여행 및 항공업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뜨거운 '러브콜'을 보냈다. 이들은 각 지역의 특색을 담은 홍보 부스를 마련하고, 일본 최대의 사구를 중심으로 한 체험형 관광(돗토리현), 스키와 온천을 연계한 동계 여행(나가노현), 후지산 인근의 와이너리 투어(야마나시현) 등 기존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다채로운 관광 상품을 제안하며 공동 상품 개발을 제안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는 단순한 홍보를 넘어, 한국 시장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고 맞춤형 전략을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겠다는 일본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일본의 이러한 움직임은 단순히 관광객을 분산시키는 것을 넘어, 2029년까지 인바운드 관광 소비액을 현재의 두 배에 가까운 15조 엔으로 끌어올리려는 거대한 경제적 목표와 맞닿아 있다. 대도시 중심의 쇼핑 관광만으로는 이러한 목표 달성에 한계가 있기에, 일본의 진짜 매력인 현지의 음식과 술, 온천, 청정 자연, 그리고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한 '체류형 여행' 모델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이는 한국 관광객에게는 획일적인 여행에서 벗어나 보다 깊이 있고 다채로운 경험을 할 기회를 제공하고, 일본에게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국가 전체의 균형 발전을 꾀할 수 있는 '윈윈' 전략인 셈이다. 관광을 매개로 한 지방 도시 간의 교류가 활성화될 경우, 양국 청년 세대와 지역 기업 간의 협력으로까지 이어져 한일 관계에 실질적인 시너지를 창출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