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vel

Travel

중국인도 일본인도 한국으로?…'관광객 싹쓸이' 앞둔 한국, 웃을 수만은 없는 이유

 중국과 일본 간의 갈등이 격화되면서 양국을 오가는 관광객의 발길이 끊기자, 한국 관광 시장이 뜻밖의 호황을 맞이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중국 내 주요 여행사들의 일본 여행 상품 취소율이 70%에 육박하고, 주요 항공사들이 무료 환불 조치에 나서는 등 중국 정부 차원의 '일본 여행 자제령'이 강력한 효력을 발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연간 700만 명의 중국인 관광객과 약 20조 원의 관광 수입에 의존해 온 일본 관광 시장에 막대한 타격이 될 전망이다. 실제로 최근 중국발 일본행 항공권 50만 장이 무더기로 취소되는 등 양국 간 관광 냉각기는 현실화되고 있으며, 한 연구소는 이로 인한 일본의 경제 손실이 17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지리적으로 가깝고 K-콘텐츠라는 강력한 무기를 가진 한국이 일본을 대체할 최적의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관측은 여러 긍정적인 신호에 기반한다. 우선 한국은 일본 못지않은 쇼핑 인프라와 높은 수준의 현지 선호도를 공유하고 있어 일본 여행을 포기한 중국인 관광객들의 발길을 돌리기에 충분한 매력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 최근 시행된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정책은 입국 문턱을 크게 낮추며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날개를 달아주었다. 이러한 호재에 힘입어 지난 9월까지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이미 424만 명을 넘어서며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하는 등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 관광 시장의 위기가 한국에게는 최대 경쟁자와의 격차를 좁히고 아시아 관광 시장의 판도를 바꿀 절호의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이번 갈등은 중국인 관광객뿐만 아니라 일본인 관광객들의 한국행을 유도하는 효과도 낳을 수 있다. 일본인 관광객들은 여행지 선택 시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과거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 당시에도 일본인들의 중국 여행이 절반 이상 급감했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이번 갈등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중국 대신 다른 아시아 국가로 눈을 돌릴 가능성이 크다. 이 과정에서 높은 선호도를 가진 한국이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를 것이라는 게 현지 여행업계의 전망이다. 즉, 중국과 일본 양국의 관광객을 동시에 흡수하며 '어부지리' 효과를 톡톡히 누릴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셈이다.

 

다만, 장밋빛 전망에만 취해서는 안 된다는 신중론도 고개를 든다. 동북아 관광 수요를 선점하려는 태국 등 동남아 국가들의 도전이 거센 데다, 관광객 대부분이 집중되는 수도권의 수용 능력은 이미 한계에 다다랐다는 지적이 나온다. 55.2%에 머무는 중국인 관광객의 낮은 재방문율을 개선하는 것도 시급한 과제다. 무엇보다 특정 국가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가 얼마나 위험한지는 2017년 사드 사태 당시 뼈아픈 경험을 통해 이미 증명된 바 있다.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며 국내 전담 여행사 절반이 문을 닫았던 악몽을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이번 기회를 통해 시장을 다변화하고 체질을 개선하는 노력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경쟁국보다 한발 앞서 체계적인 유치 전략을 세우고 늘어난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점검하는 등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디저트계의 피카소' 한국 상륙…그의 '작품'을 맛볼 수 있는 단 두 곳은?

도입 계약을 체결하고, 그의 명성을 대표하는 시그니처 디저트들을 서울 시내 중심부에서 선보인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번 론칭은 파리, 도쿄, 런던 등 세계 미식의 수도에서나 경험할 수 있었던 최고 수준의 디저트를 국내에 처음으로 정식 소개한다는 점에서 국내 하이엔드 디저트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미식가들 사이에서 오랜 기다림의 대상이었던 만큼, 그의 디저트가 한국 시장에 어떤 새로운 미식의 기준을 제시할지 귀추가 주목된다.피에르 에르메는 단순히 디저트를 만드는 파티시에를 넘어, 맛과 디자인, 그리고 경험을 창조하는 예술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대표작인 '이스파한'은 장미와 리치, 라즈베리의 황홀한 조합으로 전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이를 비롯한 수많은 페이스트리, 초콜릿, 마카롱 등은 기존의 틀을 깨는 감각적인 맛과 예술적인 디자인으로 그에게 '디저트계의 피카소'라는 영광스러운 별칭을 안겨주었다. 현재 파리, 도쿄, 런던을 포함한 전 세계 20개국에 100여 개가 넘는 매장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그는 자신의 디저트 철학을 전 세계에 전파하고 있는 명실상부한 글로벌 디저트 브랜드의 아이콘이다.이번 국내 론칭을 통해 피에르 에르메의 핵심적인 디저트 라인업을 두 곳의 럭셔리 호텔에서 먼저 만나볼 수 있다. 파크 하얏트 서울의 '코너스톤'과 안다즈 서울 강남의 '바이츠 앤 와인'에서는 그의 상징과도 같은 마카롱을 비롯해 엄선된 파운드케이크와 초콜릿 바, 스낵류 등을 판매한다. 특히 파운드케이크는 시그니처인 '이스파한 케이크'부터 패션프루트와 밀크초콜릿의 조화가 돋보이는 '모가도르 케이크', 그리고 헤이즐넛과 레몬의 풍미를 극대화한 프리미엄 제품들로 구성되어 기대를 모은다. 또한 캐러멜 화이트초콜릿 바, 망디앙 스낵 등 다양한 초콜릿 라인업도 함께 선보이며, 오는 16일에는 더 현대 서울에 팝업 스토어를 열고 더욱 다채로운 디저트의 세계를 펼쳐 보일 예정이다.호텔HDC 측은 이번 론칭에 대해 단순한 디저트 판매를 넘어, 파리의 감성과 헤리티지를 담은 피에르 에르메의 작품 세계를 한국에 소개하는 데 큰 의미를 두고 있다. 관계자는 "피에르 에르메의 철학을 가장 순수하고 온전한 형태로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하며, 이번 론칭이 국내 소비자들에게 미식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의 디저트 하나하나에 담긴 장인정신과 예술적 영감을 직접 경험하려는 국내 팬들의 뜨거운 관심이 서울의 겨울을 달콤하게 달굴 것으로 보인다.